25년 04월 월간 건설 시장 동향
출판일 2025-04-11
연구원 CERIK
(건설수주) 2025년 2월 건설수주는 11.3조 원(전월 대비 +8.3%, 전년 동월 대비 –8.9%)으로 2월 수주로는 6년래 최저치로 부진한 실적 기록
공공수주는 토목과 주택 수주가 감소한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28.3% 감소, 2월 실적으로는 6년래 최저치인 2.9조원 기록
민간수주는 비주택 건축 수주는 부진하였지만, 토목과 주택 수주가 증가한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0.6% 증가
(건설기성)2025년 2월 건설기성액은 10.4조 원(전월 대비 –35.9%, 전년 동월 대비 –26.9%)
공공(전년 동월 대비 –7.7%)과 민간(전년 동월 대비 –29.8%) 모두 부진
결국 지난해 5월부터 10개월 연속 감소세를 지속해 부진한 모습을 보임
(각종 건설물가) 2월 건설 관련 물가의 경우 전년 동월 대비 증감률 전반적으로 지난 1월과 비슷한 수준으로 횡보세, 환율로 인해서 건설 중간재 수입품 물가가 증가했지만, 건설경기 침체로 수요가 감소한 영향 때문으로 0~1%대로 낮은 상승률 기록
소비자물가(2.2→2.0%)생산자물가(1.8→1.5%)는 지난해 1월보다 소폭 둔화, 건설공사비지수(1.1→0.8%)도 1월보다 둔화 다만, 건설기성 디플레이터(0.6→1.4%)는 1월보다 일부 증가
한국은행의 국내 공급물가지수 자료 분석 결과 중간재건설용(수입) 물가가 전년 동월 대비 6.9% 상승, 중간재건설용(국내) 물가는 0.0%로 횡보
(건설고용) 2025년 2월 건설업 취업자 수 191만명(전월 대비 –0.6%, 전년 동월 대비 –8.1%)
건설 취업자수 지난해 5월부터 감소세를 지속해 10개월 연속 감소
기성데이터로 분석한 결과 건축공사물량 위축으로 인한 투입 인력이 감소한 가운데 정부 토목공사 물량 감소 영향도 함께 반영된 것으로 판단
(국내 건설시장 상황 진단) 2월 선행지표인 건설 수주가 부진하였고, 동행지표인 건설기성도 10개월 연속 감소 하는 등 부진한 모습 지속
특히, 건설기성 전년 동월 대비 감소율은 1월에 26.9% 감소하고 2월에도 20.4% 감소하는 등 2개월 연속 20% 이상 감소세를 지속하였는데 이는 통계작성된 1997년 7월 이후 처음 겪는 상황으로 침체 속도가 이례적으로 빠른 것으로 분석
정치적 그리고 대외 불확실성으로 진행 중인 공사가 급격히 위축된 것으로 판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