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CERIK 시장전망

2025년 04월 건설경기실사지수

출판일 2025-05-12

연구원 CERIK

(실적지수) 2025년 4월 건설경기실사 ‘종합실적지수’는 74.8로 전월 대비 6.7p 상승

모든 세부 실적지수가 전월 대비 상승했으며, 공사기성지수(85.0, +12.0p)가 가장 큰 폭 상승

신규수주지수(71.1, +10.4p), 수주잔고지수(80.4, +10.4p)도 비교적 큰 폭으로 상승

뒤이어 자재수급지수(93.5, +9.4p), 공사대수금지수(85.1, +9.0p), 자금조달지수(76.5, +6.3p) 순으로 상승

공종별 신규수주지수는 토목(65.7, +11.7p), 비주택건축(69.1, +9.6p), 주택(70.8, +4.8p) 순으로 상승

대기업지수(100.0, +16.7p)와 중소기업지수(61.5, +5.1p)는 상승하고 중견기업지수(63.3, -1.2p)는 하락

서울지수(93.4, +11.1p)와 지방지수(63.2, +7.3p) 모두 상승

(전망지수) 2025년 5월 건설경기실사 ‘종합전망지수’는 71.9로 4월 ‘종합실적지수’보다 2.9p 낮은 수준

신규수주지수와 공사대수금지수를 제외한 모든 세부 전망지수가 4월 실적지수 대비 낮은 수준

기업 규모별로 대기업 지수는 하락, 중견기업과 중소기업 지수는 상승 전망

공종별 신규수주지수는 토목, 주택, 비주택건축 부문 모두 고른 개선 전망

지역별로 서울은 하락, 지방은 상승 전망

(경기진단) 4월 건설경기실사 ‘종합실적지수’ 검토 결과 체감 건설경기 부진 지속

4월 건설경기실사 종합실적지수는 전월 대비 개선되었으나 여전히 체감 건설경기가 악화되었다는 응답이 개선되었다는 응답보다 우세하여 지수가 100 이하를 크게 밑도는 상황

모든 세부 실적지수가 전월 대비 상승

종합실적지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신규수주지수의 영향력은 60.0%로 전월 대비 7.3%p 증가하였고, 수주잔고지수의 영향력이 12.5%로 전월 대비 3.7%p 늘어나 두 번째

한편, 2015년 5월 종합전망지수는 4월 종합실적지수보다 2.9p 낮은 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