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동향브리핑 274호
출판일 2010-08-27
연구원 CERIK
주택시장에 이어 토지시장도 침체기 진입
- 수도권 전역으로 가격 하락 확산, 주거용지 거래 감소폭 커 -
■ 토지가격 15개월 상승세 마감
• 7월 전국 토지가격 상승률은 0.00%로 2009년 4월부터 시작된 15개월 연속 상승세가 7월 들어 보합세를 나타냄.
- 도시규모별로는 대도시 -0.03%, 시지역 0.02%, 군지역 0.04%의 변동률을 보임.
- 지역별로는 수도권의 하락세가 두드러짐(서울 -0.07%, 인천 -0.01%, 경기 -0.01%).
• 강남 지역에서 수도권 전역과 일부 지방으로 가격 하락이 확산됨.
- 4월 강남 3개 지역(강남구, 강동구, 송파구) → 5월 강남 중심 6개 지역(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강동구, 과천시, 제천시) → 6월 수도권 및 일부 지방 29개 지역
- 7월 (-)를 기록한 시군구는 61개 지역으로 하락세가 강남 지역에서 수도권 전역 및 일부 지방으로 확산됨.
• 주거 지역과 상업 지역은 하락하였으나, 이 외 지역은 아직 상승세 유지
- 용도 지역별로는 주거 지역(-0.03%)과 상업 지역(-0.02%)에서만 하락률을 보였으며, 그 외의 지역은 0.05%미만의 상승률을 기록함.
- 이용 상황별로는 주거용(-0.02%) 및 상업용(-0.03%) 대지가 하락률을 기록한 가운데 답(畓)이 0.07%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임.
---------------------------------------------------------------------
목차
■ 경제 동향
․ 주택시장에 이어 토지시장도 침체기 진입
■ 정책․경영
․ 공동주택 하자소송 관련 주요 쟁점에 대한 검토
․ “한국형 방식인 ‘장기계속비계약제도’ 폐지해야”
■ 정보 마당
․ 미국, 정책․제도 통해 ‘사회간접시설의 녹색화’ 주도
■ 연구원 소식
■ 건설 논단 : 불확실성 부채질하는 정책
- 수도권 전역으로 가격 하락 확산, 주거용지 거래 감소폭 커 -
■ 토지가격 15개월 상승세 마감
• 7월 전국 토지가격 상승률은 0.00%로 2009년 4월부터 시작된 15개월 연속 상승세가 7월 들어 보합세를 나타냄.
- 도시규모별로는 대도시 -0.03%, 시지역 0.02%, 군지역 0.04%의 변동률을 보임.
- 지역별로는 수도권의 하락세가 두드러짐(서울 -0.07%, 인천 -0.01%, 경기 -0.01%).
• 강남 지역에서 수도권 전역과 일부 지방으로 가격 하락이 확산됨.
- 4월 강남 3개 지역(강남구, 강동구, 송파구) → 5월 강남 중심 6개 지역(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강동구, 과천시, 제천시) → 6월 수도권 및 일부 지방 29개 지역
- 7월 (-)를 기록한 시군구는 61개 지역으로 하락세가 강남 지역에서 수도권 전역 및 일부 지방으로 확산됨.
• 주거 지역과 상업 지역은 하락하였으나, 이 외 지역은 아직 상승세 유지
- 용도 지역별로는 주거 지역(-0.03%)과 상업 지역(-0.02%)에서만 하락률을 보였으며, 그 외의 지역은 0.05%미만의 상승률을 기록함.
- 이용 상황별로는 주거용(-0.02%) 및 상업용(-0.03%) 대지가 하락률을 기록한 가운데 답(畓)이 0.07%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임.
---------------------------------------------------------------------
목차
■ 경제 동향
․ 주택시장에 이어 토지시장도 침체기 진입
■ 정책․경영
․ 공동주택 하자소송 관련 주요 쟁점에 대한 검토
․ “한국형 방식인 ‘장기계속비계약제도’ 폐지해야”
■ 정보 마당
․ 미국, 정책․제도 통해 ‘사회간접시설의 녹색화’ 주도
■ 연구원 소식
■ 건설 논단 : 불확실성 부채질하는 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