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동향브리핑 823호
출판일 2021-09-13
연구원 김영덕, 최수영, 김정주, 이태희
미국, 중국, 유럽 등 주요국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확대되고, 경제활동에 대한 제약이 완화됨에 따라 세계 경제 회복세가 이어지고 있음.
- 팬데믹 기저효과와 경제회복에 따른 소비 수요 증가, 대규모 경기부양책 등으로 미국의 금년 1분기 GDP 성장률은 6.3%, 2분기 GDP 성장률은 6.5%로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음.
-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등 유럽 국가들 역시 백신 접종 확대에 따른 상점영업 재개와 민간소비 증가, 경제회복기금의 적극적인 집행에 따라 회복세가 가시화되고 있음.
- 중국은 수출 호조 지속과 소비, 고용 회복에 따라 양호한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향후에도 정부 인프라 투자 확대로 인해 안정적인 성장세가 예견됨.
● 주요 국가들이 긴축정책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점차 커지고 있는 상황
코로나 사태 극복을 위해 지난 1년 반 동안 각국 정부는 대규모 경기부양책을 통해 시장에 막대한 유동성을 공급해 왔으나, 작년 말부터 경기 회복세가 가시화되면서 미국을 중심으로 긴축재정․통화정책으로의 전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음.
- 지난 4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FOMC 정례회의에서는 빠른 경기 회복으로 인한 물가상승압력에 대비한 자산매입 속도의 조절과 기준금리 인상 필요성에 대한 언급이 이뤄짐.
- 지난 6월 회의에서는 기준금리 수준과 자산매입 규모를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했으나, 2023년부터 본격적인 금리 인상과 자산매입 규모 축소를 시사하였음.
우리나라 역시 지난달 가계부채 및 자산시장의 불안정성 억제를 위해 2년 9개월 만에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하였음.
● 저금리와 막대한 시중 유동성은 최근까지 건설경기를 지탱해 온 주요인
2020년 한해 총 공사수주액은 194.1조원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는데, 이는 2010년 수주액인 103.2조원에 비해 약 두 배에 달하는 수치임. 세부적으로는 주거용 건축물에 대한 수주가 가장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목 차 ===================
세계 주요국의 공정경쟁 정책 추진 동향과 과제
중대재해처벌법의 향후 개선 방향
금번 3080+ 주민공모 결과의 함의
금리 인상으로 인한 리스크 관리 강화 필요
건설산업과 인센티브
- 팬데믹 기저효과와 경제회복에 따른 소비 수요 증가, 대규모 경기부양책 등으로 미국의 금년 1분기 GDP 성장률은 6.3%, 2분기 GDP 성장률은 6.5%로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음.
-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등 유럽 국가들 역시 백신 접종 확대에 따른 상점영업 재개와 민간소비 증가, 경제회복기금의 적극적인 집행에 따라 회복세가 가시화되고 있음.
- 중국은 수출 호조 지속과 소비, 고용 회복에 따라 양호한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향후에도 정부 인프라 투자 확대로 인해 안정적인 성장세가 예견됨.
● 주요 국가들이 긴축정책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점차 커지고 있는 상황
코로나 사태 극복을 위해 지난 1년 반 동안 각국 정부는 대규모 경기부양책을 통해 시장에 막대한 유동성을 공급해 왔으나, 작년 말부터 경기 회복세가 가시화되면서 미국을 중심으로 긴축재정․통화정책으로의 전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음.
- 지난 4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FOMC 정례회의에서는 빠른 경기 회복으로 인한 물가상승압력에 대비한 자산매입 속도의 조절과 기준금리 인상 필요성에 대한 언급이 이뤄짐.
- 지난 6월 회의에서는 기준금리 수준과 자산매입 규모를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했으나, 2023년부터 본격적인 금리 인상과 자산매입 규모 축소를 시사하였음.
우리나라 역시 지난달 가계부채 및 자산시장의 불안정성 억제를 위해 2년 9개월 만에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하였음.
● 저금리와 막대한 시중 유동성은 최근까지 건설경기를 지탱해 온 주요인
2020년 한해 총 공사수주액은 194.1조원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는데, 이는 2010년 수주액인 103.2조원에 비해 약 두 배에 달하는 수치임. 세부적으로는 주거용 건축물에 대한 수주가 가장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목 차 ===================
세계 주요국의 공정경쟁 정책 추진 동향과 과제
중대재해처벌법의 향후 개선 방향
금번 3080+ 주민공모 결과의 함의
금리 인상으로 인한 리스크 관리 강화 필요
건설산업과 인센티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