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동향브리핑 827호
출판일 2021-10-18
연구원 이승우, 엄근용, 손태홍, 빈재익
0년 단위의 도로분야 최상위 법정계획인 「제2차 국가도로망종합계획(’21~’30)」(9.16), 5년간 신규 추진할 국도, 국지도 사업을 담은 「제5차 국도·국지도 건설계획(’21~’25년)」(9.28), 도로관리 정책 방향을 담은 「제2차 도로관리계획(’21~’25년)」(9.28) 등이 발표됨.
- 국가도로망종합계획에서는 도로정책의 중장기 비전과 목표가 제시되었고, 국도·국지도 건설계획에서는 향후 5년간 추진될 도로사업이 제시됨.
- 도로관리계획에서는 미래도로를 변화에 유연하고(Adaptable) 지능적이며(Intelligent) 믿음을 주고(Reliable) 지속가능한(Sustainable) “AIRS 도로”라고 정의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과제들을 제시함.
● 제2차 도로망종합계획
경제 재도약, 포용, 안전, 혁신성장의 네 가지 가치를 중심으로 미래 10년의 과제를 제시함.
이번 계획의 핵심은 국가 간선도로망을 재편하여 새로운 도로체계를 제시한 것으로서 30여년 만에 새로운 국가 간선도로망을 재설정함.
- 국가 간선도로망은 92년 이래로 남북방향의 7개축과 동서방향의 9개축으로 구성된 격자망과 대도시 권역의 6개의 순환망으로 운영되었으나, 이번 계획에서 “10×10 + 6R2” 체계로 재정비됨.
전체 국토에 대한 격자망의 경우, 남북방향의 10개축과 동서방향의 10개축으로 재편함.
- 남북 6축〔연천~서울(강일IC)~진천~영동~합천 구간〕을 도입
- 실제 간선도로 기능을 수행 중인 평택~부여~익산, 서울~세종, 서울~춘천을 간선축으로 조정
- 기존 5대 대도시 권역의 순환형 도로망에, 주변 도시와 중심부를 직결하는 방사축을 도입하여 6개의 방사형 순환망(6R2, 6 Radial Ring)으로 발전
- 특히 대전·충청 권역의 보령·부여축, 보은축, 태안축, 광주·호남권역의 화순축, 대구·경북 권역의 성주축을 방사축으로 반영하여 향후 교통여건 변화에 따른 도로망 확충을 검토할 수 있게 함.
=========================목 차 =================
국가 도로정책 중장기 비전 제시
지자체 공공건축물 손실 규모 지속 증가
내년 세계 석유 수요 코로나 이전 수준 넘을 듯
지속가능 건설, 건설업의 미래 생산방식
건설산업의 공정거래문화 정착의 조건
- 국가도로망종합계획에서는 도로정책의 중장기 비전과 목표가 제시되었고, 국도·국지도 건설계획에서는 향후 5년간 추진될 도로사업이 제시됨.
- 도로관리계획에서는 미래도로를 변화에 유연하고(Adaptable) 지능적이며(Intelligent) 믿음을 주고(Reliable) 지속가능한(Sustainable) “AIRS 도로”라고 정의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과제들을 제시함.
● 제2차 도로망종합계획
경제 재도약, 포용, 안전, 혁신성장의 네 가지 가치를 중심으로 미래 10년의 과제를 제시함.
이번 계획의 핵심은 국가 간선도로망을 재편하여 새로운 도로체계를 제시한 것으로서 30여년 만에 새로운 국가 간선도로망을 재설정함.
- 국가 간선도로망은 92년 이래로 남북방향의 7개축과 동서방향의 9개축으로 구성된 격자망과 대도시 권역의 6개의 순환망으로 운영되었으나, 이번 계획에서 “10×10 + 6R2” 체계로 재정비됨.
전체 국토에 대한 격자망의 경우, 남북방향의 10개축과 동서방향의 10개축으로 재편함.
- 남북 6축〔연천~서울(강일IC)~진천~영동~합천 구간〕을 도입
- 실제 간선도로 기능을 수행 중인 평택~부여~익산, 서울~세종, 서울~춘천을 간선축으로 조정
- 기존 5대 대도시 권역의 순환형 도로망에, 주변 도시와 중심부를 직결하는 방사축을 도입하여 6개의 방사형 순환망(6R2, 6 Radial Ring)으로 발전
- 특히 대전·충청 권역의 보령·부여축, 보은축, 태안축, 광주·호남권역의 화순축, 대구·경북 권역의 성주축을 방사축으로 반영하여 향후 교통여건 변화에 따른 도로망 확충을 검토할 수 있게 함.
=========================목 차 =================
국가 도로정책 중장기 비전 제시
지자체 공공건축물 손실 규모 지속 증가
내년 세계 석유 수요 코로나 이전 수준 넘을 듯
지속가능 건설, 건설업의 미래 생산방식
건설산업의 공정거래문화 정착의 조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