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동향브리핑 856호
출판일 2022-05-16
연구원 박철한, 이지혜, 나경연, 손태홍
한국은행이 지난 4월 26일 발표한 국내총생산 속보치에 의하면, 2022년 1/4분기 우리나라 경제(GDP) 성장률은 3.1%를 기록, 지난 2021년 1/4분기에 1.9% 증가한 이후 1년래 가장 낮은 성장률을 기록함(<그림 1> 참조).
한국은행은 1/4분기에 소비와 투자가 부진해 경제성장률이 둔화되었다고 발표했는데, 특히 1/4분기 건설투자가 전년 동기 대비 5.3% 감소한 영향이 컸음(<표 1> 참조).
- 건설투자는 2019년 4/4분기와 2020년 1/4분기에 각각 3.5%, 4.4% 증가해 회복하는 듯 했지만, 2020년 2/4분기에 다시 0.4% 감소한 이후 2022년 1/4분기까지 총 8분기 연속 감소세를 지속함.
- 특히, 올해 1/4분기 건설투자는 2015년 1/4분기 46.4조원 이후 7년래 가장 부진한 50.9조원을 기록, 전년 동기 대비 5.3% 감소해 1/4분기 GDP 성장률을 0.5%p 낮춘 것으로 분석됨.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및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건설 비용과 건설 자재 가격 상승하는 등 불확실성이 확대된 영향으로 1/4분기 건설투자가 크게 감소한 것으로 판단됨.
- 지난해 건설수주가 역대 최대치를 경신하면서 올해 건설투자가 양호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1월 「중대재해법」이 시행되어 기업들의 안전관리 비용이 증가하고, 지난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자재 가격이 급등하는 등 불확실성이 확대된 영향으로 건설투자가 위축된 것으로 보임
======================== 목차======================
1/4분기 건설투자, 전년 동기 대비 5.3% 감소
원자재 가격 전년 대비 큰 폭 상승, 당분간 지속 전망
IMF 경제성장률 전망, 1월 대비 0.8%p 낮춘 3.6%
건설업 노동생산성 비교… 최고는 대구, 최저는 제주
윤석열 정부 대북정책, 이산가족 상봉으로 시작하자
한국은행은 1/4분기에 소비와 투자가 부진해 경제성장률이 둔화되었다고 발표했는데, 특히 1/4분기 건설투자가 전년 동기 대비 5.3% 감소한 영향이 컸음(<표 1> 참조).
- 건설투자는 2019년 4/4분기와 2020년 1/4분기에 각각 3.5%, 4.4% 증가해 회복하는 듯 했지만, 2020년 2/4분기에 다시 0.4% 감소한 이후 2022년 1/4분기까지 총 8분기 연속 감소세를 지속함.
- 특히, 올해 1/4분기 건설투자는 2015년 1/4분기 46.4조원 이후 7년래 가장 부진한 50.9조원을 기록, 전년 동기 대비 5.3% 감소해 1/4분기 GDP 성장률을 0.5%p 낮춘 것으로 분석됨.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및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건설 비용과 건설 자재 가격 상승하는 등 불확실성이 확대된 영향으로 1/4분기 건설투자가 크게 감소한 것으로 판단됨.
- 지난해 건설수주가 역대 최대치를 경신하면서 올해 건설투자가 양호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1월 「중대재해법」이 시행되어 기업들의 안전관리 비용이 증가하고, 지난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자재 가격이 급등하는 등 불확실성이 확대된 영향으로 건설투자가 위축된 것으로 보임
======================== 목차======================
1/4분기 건설투자, 전년 동기 대비 5.3% 감소
원자재 가격 전년 대비 큰 폭 상승, 당분간 지속 전망
IMF 경제성장률 전망, 1월 대비 0.8%p 낮춘 3.6%
건설업 노동생산성 비교… 최고는 대구, 최저는 제주
윤석열 정부 대북정책, 이산가족 상봉으로 시작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