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동향브리핑 896호
출판일 2023-03-02
연구원 손태홍 유위성, 박철한, 임기수
2023년 2월 6일 튀르키예 남동부 지역에서 강도 7.8의 지진이 발생해 5만 명이 넘는 사망자와 63만 명 이상의 이재민이 발생했으며, 최소 10만 채에 이르는 건물이 전소되거나 심각하게 파괴됨(2023년 2월 24일 기준).
- 지진으로 인한 튀르키예의 경제 피해 규모는 2021년 국내총생산(8,190억 달러)의 최소 2.5%에서 최대 10%(840억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됨.
- 세계은행(WB)은 튀르키예 재건복구 비용을 최소 700억 달러로 추정하며 국제사회의 지원이 없다면 완전복구까지 수년이 걸릴 것이라고 분석함.
- 최초 지진 이후의 시작된 인명 긴급구호는 이제 완료 단계로 평가되지만, 최근 6.4 규모의 지진이 발생하는 등 위험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음.
● 재건복구 방식은 피해 규모와 국제사회 지원 여부 및 해당 국가의 상황 등에 따라 결정
지난 2010년 아이티 대지진의 재건복구는 정치적 불안과 극심한 경제난 등으로 인해 국제사회의 원조를 중심으로 추진됨.
- UN 산하의 인도적지원조정실(UNOCHA)과 재난평가조정단(UNDAC)이 공여국 및 기관 간 전반적인 재건복구 사업의 조정 역할 담당함.
- 지진 발생 10년이 경과했지만 완전히 복구되지 않은 상황으로 피해 주민 대부분이 NGO가 건립한 난민촌에 거주하고 있음. 완전복구 지연의 주요 원인으로는 지원금 부족, 정치적 불안 지속, 기존 인프라 열악 등이 있음.
약 980조 원의 재원이 필요한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의 경우, 2022년 4월 대통령 산하 ‘국가재건회의(The National Council for the Recovery of Ukraine form the War)’가 창설됨.
- 국가재건회의의 핵심 역할은 전후 복구·개발 계획 수립, 개혁 과제 발굴·수립 및 이행 준비, 과제 이행을 위한 규정 수립·채택·시행 등임.
- 3대 재건사업 추진 방향(① 회복력 강화, ② 복구 추진, ③ 현대화 지향)을 근간으로 15개 세부 이행 과제 추진할 예정임.
================목 차 =====================
튀르키예 재건과 건설산업의 역할
불안정한 국내외 건설환경, K-건설 재도약을 위한 준비 철저
2022년 건설수주, 전년비 8.4% 증가한 229.7조 원
건설 분쟁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제언
- 지진으로 인한 튀르키예의 경제 피해 규모는 2021년 국내총생산(8,190억 달러)의 최소 2.5%에서 최대 10%(840억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됨.
- 세계은행(WB)은 튀르키예 재건복구 비용을 최소 700억 달러로 추정하며 국제사회의 지원이 없다면 완전복구까지 수년이 걸릴 것이라고 분석함.
- 최초 지진 이후의 시작된 인명 긴급구호는 이제 완료 단계로 평가되지만, 최근 6.4 규모의 지진이 발생하는 등 위험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음.
● 재건복구 방식은 피해 규모와 국제사회 지원 여부 및 해당 국가의 상황 등에 따라 결정
지난 2010년 아이티 대지진의 재건복구는 정치적 불안과 극심한 경제난 등으로 인해 국제사회의 원조를 중심으로 추진됨.
- UN 산하의 인도적지원조정실(UNOCHA)과 재난평가조정단(UNDAC)이 공여국 및 기관 간 전반적인 재건복구 사업의 조정 역할 담당함.
- 지진 발생 10년이 경과했지만 완전히 복구되지 않은 상황으로 피해 주민 대부분이 NGO가 건립한 난민촌에 거주하고 있음. 완전복구 지연의 주요 원인으로는 지원금 부족, 정치적 불안 지속, 기존 인프라 열악 등이 있음.
약 980조 원의 재원이 필요한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의 경우, 2022년 4월 대통령 산하 ‘국가재건회의(The National Council for the Recovery of Ukraine form the War)’가 창설됨.
- 국가재건회의의 핵심 역할은 전후 복구·개발 계획 수립, 개혁 과제 발굴·수립 및 이행 준비, 과제 이행을 위한 규정 수립·채택·시행 등임.
- 3대 재건사업 추진 방향(① 회복력 강화, ② 복구 추진, ③ 현대화 지향)을 근간으로 15개 세부 이행 과제 추진할 예정임.
================목 차 =====================
튀르키예 재건과 건설산업의 역할
불안정한 국내외 건설환경, K-건설 재도약을 위한 준비 철저
2022년 건설수주, 전년비 8.4% 증가한 229.7조 원
건설 분쟁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