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이슈포커스

해외 턴키 시범 사업의 평가와 시사점

출판일 1998-09-01

연구원 이복남, 이재섭

- 최근 들어 미국의 공공 건설 부문에서 설계 시공 일괄 계약(턴키) 방식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도 2002년까지 100억원 이상의 대형 공사는 50%가 턴키 발주 방식으로 수행될 예정임.

- 그러나, 턴키 방식의 여러 가지 장점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경우에서도 실제로 적용된 사업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진 적은 없었음.

- 미국 플로리다주 교통국(FDOT)에서는 턴키 발주 방식의 장점을 최대한으로 이용하기 위한 개선 및 보완 사항을 찾고자 시범 사업을 평가하였음.
    시범 사업은 도로 재포장 사업이 6건, 교량 신설 공사 2건, 도로 신설 공사 1건, 건물 신축 공사 2건 등 11개 사업이 선정되었음.

- FDOT에서 턴키 방식을 시범 사업에 적용하고 평가한 결과, 턴키 방식이 설계 시공 분리 방식에 비해 총 사업 기간은 35.7% 짧게 소요되나, 사업비는 4.59% 더 많이 소요되어 사업 기간 면에서 절감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음.

ㆍ가격을 환산하여 턴키 방식과 기타 발주 방식과의 사업비 성과를 평가한 결과, 종합적으로 보면 턴키 방식이 분리 발주시보다 4.59% 정도 비싼 것으로 나타났음.

ㆍ턴키 방식이 직접 공사비 부문에서는 다소 높게 나타나지만 공사 기간 단축으로 인한 운영 수입을 고려하면 경제성이 훨씬 높은 것으로 분석됨.

ㆍ공사 기간을 평가한 결과 11개 대상 사업 중 9개 사업에서 턴키 방식이 분리 발주 방식보다 기간이 적게 나타나, 전체적인 평균은 턴키 방식이 분리 방식보다 시공 기간이 21.1% 적게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남.

- 턴키 공사의 효과는 건설 비용 절감에 있다고 믿고 있으나, 미국에서의 실제 분석처럼 비용 면에서는 오히려 높게 나타나고, 공기 면에서 유리하다는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음. 또한, 턴키 방식이 유리한 사업이 따로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국내 턴키 발주 공사가 사업 특성과 무관하게 선정되는 과정은 반드시 개선해야 함.

- 턴키 방식의 평가 요소 중 강조되어야 할 점은 사업관리 능력과 공기 절감 능력임. 또한, 기술력 평가시 설계와 시공이 같은 비중으로 평가되는 점을 볼 때 국내 기준도 이 부분을 고려해야 함.

- 국내의 경우도 턴키 공사에 대한 평가 작업이 이루어져, 이러한 평가 결과로부터 턴키 방식에 대한 개선점을 도출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