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열 산업연관표를 통해 본 우리나라 건설산업의 특징과 시사점
출판일 2010-11-18
연구원 빈재익
▶ 우리 경제가 외환위기와 최근 금융위기를 겪는 과정에서 건설산업이 경험한 변화를 1995-2000-2005-2008년의 산업연관표 분석을 통해 기술하고자 함.
-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 전환하고 있는 현재 우리 경제의 국면은 산업간 상호연관관계를 통해 구조적으로 접근하는 산업연관분석의 중요성을 제고함.
▶ 경기와 역관계를 갖는 정부의 사회간접자본시설에 대한 투자에도 불구하고, 건설산업의 산출액은 주택, 비주택건설, 기타특수건설 등 민간부문 영역에서 산출액 변화와 같은 추이를 보였음.
- 건설산업의 부가가치율도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크게 하락하였고 위기극복 이후에도 부가가치율은 2008년까지 지속적으로 하락하였음.
- 건설산업의 부가가치유발계수도 1995/2000/2005/2008년 기간 동안 계속 하락하였음.
- 1995년 건설산업의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취업유발계수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2005년에는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2008년에는 일정한 상관관계를 관찰하기 어려웠음.
-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 전환하고 있는 현재 우리 경제의 국면은 산업간 상호연관관계를 통해 구조적으로 접근하는 산업연관분석의 중요성을 제고함.
▶ 경기와 역관계를 갖는 정부의 사회간접자본시설에 대한 투자에도 불구하고, 건설산업의 산출액은 주택, 비주택건설, 기타특수건설 등 민간부문 영역에서 산출액 변화와 같은 추이를 보였음.
- 건설산업의 부가가치율도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크게 하락하였고 위기극복 이후에도 부가가치율은 2008년까지 지속적으로 하락하였음.
- 건설산업의 부가가치유발계수도 1995/2000/2005/2008년 기간 동안 계속 하락하였음.
- 1995년 건설산업의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취업유발계수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2005년에는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2008년에는 일정한 상관관계를 관찰하기 어려웠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