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이슈포커스

해외 건설사업 리스크 관리 시스템 역량 향상 방안

출판일 2011-07-21

연구원 유위성,이복남,이영환,성유경

▶ 세계 금융위기 이후 국내 건설시장은 침체가 지속되고 있음. 반면, 해외시장은 빠른 변화와 성장이 기대되고 있어 국내 건설기업들의 해외사업 수주 전략의 확대가 예상됨.
- 2010년 해외건설 수주실적이 700억 달러를 돌파하였지만, 이 중 80% 이상이 산업설비 부문의 실적이며, 또 전체 수주실적의 70% 이상이 일부 국가들(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사우디아라비아 등)에 과도하게 편중되어 있음.
- 세계 건설시장의 확대는 국내 기업들에게 기회이나, 다른 한편 글로벌 기업들과의 경쟁이 첨예화될 것으로 예상되어 수익 창출을 위해서는 기업들의 많은 노력이 요구됨.
- 이러한 환경에서 체계적인 리스크 평가 및 관리 시스템의 확보는 사업에 대한 전략적인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하고 관리의 효용성을 높여 기업 이윤의 극대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됨.

▶ 해외 건설사업은 다양하고 높은 리스크에 노출되어 있어 일찍부터 리스크 관리 시스템의 활용이 요구되어 왔으며, 최근 국내 건설업계에서도 해외사업의 리스크 평가 모델에 대한 개발과 활용이 증가하고 있음.
- 현재까지 개발된 리스크 평가 모델들은 주로 사업 초기의 수주 및 입찰 단계에 활용되고 있어, 향후 사업 전체에 걸친 리스크 관리 체계로의 개선이 필요함.
- 기업들은 정성적인 리스크의 정량화 방법 개선, 리스크의 변화 추적과 관리, 리스크 평가 방법의 실무적 활용성 증대 등 자체 보유하고 있는 리스크 평가 모델의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

▶ 해외 건설사업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서는 리스크 평가 모델의 체계적인 구축이 필수적이며,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리스크 평가 모델의 구축 방안을 제안함.
- 개별사업 중심의 리스크 평가 체계를 기업 전사적 차원의 평가로 확대하는 것이 필요함. 이로써 금융위기와 같은 환경 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 사업 단계별 리스크 평가가 아닌 생애주기 전 단계에 걸쳐 적용이 가능한 일관성 있는 리스크 관리 시스템이 필요함.  
- 정성적 데이터의 정량화 프로세스는 리스크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가능하게 하고 산정된 대응전략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됨.

▶ 과거의 저가 수주와 리스크 감수라는 전략에서 벗어나, 고도의 기술력과 관리능력을 요구하는 최근의 대형화․전문화된 사업을 수주하기 위해서는 사업 특성에 따라 유연한 맞춤형 리스크 평가 및 관리 시스템의 신속한 구축이 필요한 시점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