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 인력의 ‘현장 경험’이 건설 생산에 미치는 영향 분석
출판일 2014-07-04
연구원 심규범
▶ 본 연구에서 소개하려는 기능 마스터란 건설 현장에서 협력업체의 시공 지원, 설계 및 시공 방법 검토, 현장 훈련, 작업 관리 등 실제 시공과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는 모 일반(종합)건설업체 소속의 중간 기술직을 지칭함.
- 이들은 대체로 건설 현장의 기능인력 경력(육체 노동)이 있어 실제 기능을 보유한 고숙련 인력이고, 팀․반장 또는 협력업체의 현장소장으로 근무한 경력도 있음. 따라서 건설 현장에서 각 생산 주체들의 다양한 역할을 두루 수행한 ‘현장 경험’ 보유자들임.
▶ 다양한 역할이 융합된 기능 마스터의 ‘현장 경험’과 ‘고용 안정 및 원수급자 기술직으로서의 지위 부여’는 타 산업에서보다 건설 생산에서 더 중요한 의미를 지님.
- 건설 생산물의 각이성과 생산 과정의 옥외성으로 인해 동일한 기능이라도 생산물의 종류에 따라 또는 온도, 습도, 풍속 등의 기후 조건이나 자연에 노출된 자재의 상태 등에 따라 달리 활용되어야 하는데 이것은 다양한 경험으로만 터득할 수 있기 때문임.
- 나아가 원수급자, 하수급자, 근로자 등 다수 생산 주체들의 소통과 협력이 매우 중요한데, 이것 역시 다양한 주체의 역할을 수행해본 경험으로만 터득할 수 있음.
- 또한, 건설 현장의 생산 작업은 분산된 수직․수평의 공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어 각 생산 주체의 작업에 대한 엄격한 관리 및 감독이 어렵고 결국 건설 생산물의 생산성 및 품질은 각 생산 주체의 자발적 헌신성에 의존하게 되는데, 기능 인력을 상용직으로 고용하고 원수급자 기술직의 지위를 부여함으로써 이를 촉진하고 있음.
- 이들은 대체로 건설 현장의 기능인력 경력(육체 노동)이 있어 실제 기능을 보유한 고숙련 인력이고, 팀․반장 또는 협력업체의 현장소장으로 근무한 경력도 있음. 따라서 건설 현장에서 각 생산 주체들의 다양한 역할을 두루 수행한 ‘현장 경험’ 보유자들임.
▶ 다양한 역할이 융합된 기능 마스터의 ‘현장 경험’과 ‘고용 안정 및 원수급자 기술직으로서의 지위 부여’는 타 산업에서보다 건설 생산에서 더 중요한 의미를 지님.
- 건설 생산물의 각이성과 생산 과정의 옥외성으로 인해 동일한 기능이라도 생산물의 종류에 따라 또는 온도, 습도, 풍속 등의 기후 조건이나 자연에 노출된 자재의 상태 등에 따라 달리 활용되어야 하는데 이것은 다양한 경험으로만 터득할 수 있기 때문임.
- 나아가 원수급자, 하수급자, 근로자 등 다수 생산 주체들의 소통과 협력이 매우 중요한데, 이것 역시 다양한 주체의 역할을 수행해본 경험으로만 터득할 수 있음.
- 또한, 건설 현장의 생산 작업은 분산된 수직․수평의 공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어 각 생산 주체의 작업에 대한 엄격한 관리 및 감독이 어렵고 결국 건설 생산물의 생산성 및 품질은 각 생산 주체의 자발적 헌신성에 의존하게 되는데, 기능 인력을 상용직으로 고용하고 원수급자 기술직의 지위를 부여함으로써 이를 촉진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