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건설투자의 중장기 변화 추이 전망
출판일 2014-07-10
연구원 이홍일, 박철한
▶ 본 연구는 OECD 국가들의 과거 40여 년 간의 데이터를 기초로 국가의 경제 발전 단계에 따른 건설투자 변화 추이를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향후 우리나라의 경제발전에 따른 건설투자의 중장기 변화 추이를 전망하였음.
-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서는 2009년에 ‘국내 건설투자의 중장기 변화 추이 연구’를 수행한 바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2009년 선행 연구의 방법론과 결과의 적정성을 검토한 후 전망 방법론을 다소 수정, 보완하여 2030년까지 국내 건설투자의 변화 추이를 전망하였음.
▶ 전망 결과, 우리나라의 GDP 대비 건설투자 비중이 2020년에는 11.0~11.5%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었으며, 2020년 이후에는 과거에 비하여 GDP 대비 건설투자 비중의 하락 속도가 좀 더 완만해질 것으로 전망됨.
- 그 결과, 2025년에는 건설투자 비중이 10.0~10.5%, 2030년에는 건설투자 비중이 9.2~9.7%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 국내 건설투자의 연평균 증가율은 2013~2020년 동안은 0.8~1.5%, 2020∼2030년 동안은 과거에 비해 다소 낮은 0.6∼0.7%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 이상의 전망치는 2020년 이후 기존 건축물 및 SOC 시설물의 유지보수 투자가 선진국 수준으로 당장 활성화되기는 어렵다는 점을 감안해 도출한 전망치임.
- 따라서 향후 우리나라의 GDP 대비 건설투자 비중이 선진국과 같이 일정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지보수 투자의 활성화가 중요함.
▶ 2020년 우리나라의 GDP 대비 건설투자 비중이 약 11%가 되고, 2025년 이후 10% 내외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는 것은 2020년 이후에는 우리나라의 건설시장이 본격적으로 선진국형 시장으로 전환될 것이라는 의미임.
- 현재 1인당 GDP가 3만 달러 이상 되는 OECD 국가들의 GDP 대비 건설투자 비중은 대부분 평균적으로 11% 수준에서 형성되고 있음.
-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서는 2009년에 ‘국내 건설투자의 중장기 변화 추이 연구’를 수행한 바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2009년 선행 연구의 방법론과 결과의 적정성을 검토한 후 전망 방법론을 다소 수정, 보완하여 2030년까지 국내 건설투자의 변화 추이를 전망하였음.
▶ 전망 결과, 우리나라의 GDP 대비 건설투자 비중이 2020년에는 11.0~11.5%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었으며, 2020년 이후에는 과거에 비하여 GDP 대비 건설투자 비중의 하락 속도가 좀 더 완만해질 것으로 전망됨.
- 그 결과, 2025년에는 건설투자 비중이 10.0~10.5%, 2030년에는 건설투자 비중이 9.2~9.7%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 국내 건설투자의 연평균 증가율은 2013~2020년 동안은 0.8~1.5%, 2020∼2030년 동안은 과거에 비해 다소 낮은 0.6∼0.7%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 이상의 전망치는 2020년 이후 기존 건축물 및 SOC 시설물의 유지보수 투자가 선진국 수준으로 당장 활성화되기는 어렵다는 점을 감안해 도출한 전망치임.
- 따라서 향후 우리나라의 GDP 대비 건설투자 비중이 선진국과 같이 일정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지보수 투자의 활성화가 중요함.
▶ 2020년 우리나라의 GDP 대비 건설투자 비중이 약 11%가 되고, 2025년 이후 10% 내외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는 것은 2020년 이후에는 우리나라의 건설시장이 본격적으로 선진국형 시장으로 전환될 것이라는 의미임.
- 현재 1인당 GDP가 3만 달러 이상 되는 OECD 국가들의 GDP 대비 건설투자 비중은 대부분 평균적으로 11% 수준에서 형성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