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이슈포커스

해외사업 리스크 조기경보체계(Risk-EWS) 구축 방안

출판일 2015-11-30

연구원 유위성, 김우영

▶ 최근 해외 시장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과거에 경험한 손실의 반복을 선제적으로 예방하기 위한 조기경보 기능의 필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음. 본고에서는 국내 건설산업이 보유하고 있는 해외사업 잠재 리스크를 탐색하고 입체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잠재 리스크 조기경보체계(Risk-EWS) 구축 방안을 제안함.  

▶ Risk-EWS는 해외사업 리스크 지수(IPRI), 불안정 지수(UI), 민감도 지수(SI), 현황․경보․예측(2WF) 맵으로 구성되어 있고, 선제적 대응을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함.  
- 리스크 지수(IPRI)는 진행되고 있는 사업들의 잠재 리스크 규모를 추정하고 통합하여 산업 차원에서 체감하는 잠재 리스크 규모를 지수화한 것으로 4개의 공종(건축, 토목, 산업설비, 기타), 3개의 권역(Middle East and Africa, Asia Pacific, America/Europe), 4개의 사업 규모(1,000억원 미만, 1,000억∼5,000억원, 5,000억∼1조원, 1조원 이상)로 세분화됨.
- 불안정 지수(UI)는 IPRI의 변동 폭을 설명하는 데 활용되며, 사업을 수행하는 데 있어 프로젝트관리 체계의 일관성과 역량을 간접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지수임.  
- 민감도 지수(SI)는 수행되고 있는 사업이 전체 IPRI에 미치는 영향을 지수화한 것으로 11개 영역(4개 공종, 3개 권역, 4개 사업 규모)으로 세분화되어 특정 시점에서 전체 산업에 미치는 잠재 리스크 규모의 영향도를 계량화함.  
- Risk-EWS에 탑재된 현황․경보․예측(2WF) 맵은 사업 진행 현황, 잠재 리스크 증가에 대한 조기 경보, 향후 사업 성과 추이에 대한 전망을 시각적으로 제공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