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이슈포커스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 건설산업의 도전과 과제

출판일 2022-01-10

연구원 이홍일

● 2020년 10월 정부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국가 목표로 천명했으며, 그 이후 후속 작업으로 구체적인 시나리오 수립을 추진해 2021년 10월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발표했음.
●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의 주요 부문별 내용을 살펴보면, 에너지 전환, 산업, 건물, 폐기물 부문의 시나리오 내용이 건설산업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됨.
● 건설 Value Chain상 건설자재 제조단계에서 탄소배출 비중이 90% 이상으로 가장 높고, 시공단계에서는 탄소배출이 낮아 개별 건설기업 단위의 탄소 감축은 건설자재 제조기업에 비해서는 용이한 편으로 판단됨.
● 다만, 개별 건설기업 단위를 넘어선 전체 Value Chain, 건설상품 총생애주기 관점에서 탈탄소화가 탄소중립 시대의 건설기업에게 상당히 중요하고 도전적인 과제가 될 전망임.
- 건설산업은 건설자재 생산 과정까지 포함한 전체 Value Chain과 건물 운영 부문에서 전 세계 온실가스의 25%, 이산화탄소의 47%를 배출해 탄소중립은 건설산업에 상당한 도전이 될 전망임.
● 중장기적으로 전체 Value Chain과 건설상품 총생애주기 관점에서 탈탄소화 전략 수립/이행에 성공한 기업이 탄소중립 시대에 핵심 경쟁우위를 확보할 전망임.
- 건설자재 및 공법별 탄소배출 구조와 핵심관리 요소에 대한 이해와 협력 네트워크 구축, 탄소저감 건설상품의 최적 솔루션 제공을 위한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및 엔지니어링 역량 확보 등이 핵심 경쟁우위 요소임.
- 이상의 핵심 경쟁우위 요소들은 단기간 내 확보가 쉽지 않다는 점에서 탄소중립 환경에서 타사 대비 경쟁우위를 확보하게 하는 중요한 수단임.
● Scope 3까지 포함해 탄소중립을 추구하는 해외 선진 건설기업의 사례에서처럼 탈탄소 선진기업이 되기 위한 중장기 탈탄소 전략(탈탄소 건축자재‧소재 사용, 저에너지 시공, 탄소저감 상품 매출 비중 확대 등) 추진이 필요함.
● 탄소중립 시나리오 이행에 따른 국내 건설기업의 대응 전략은 개별 건설기업 단위의 탄소배출 감축, 건설상품 총생애주기 단위의 탄소배출 감축, 탄소중립에 따른 건설시장 변화 대응의 3가지 분야에 총 6대 전략으로 구분할 수 있음.
- 개별 건설기업 단위의 탄소배출 감축을 위한 전략은 건물/수송 수단의 에너지 절감 및 재생에너지 비중 확대, 건설현장의 에너지 절감 및 폐기물 감축임.
- 건설상품 총생애주기 단위의 탄소배출 감축을 위한 전략은 탄소감축 자재구매 비중 확대, 탄소배출 저감 건설상품의 솔루션 제공 역량 강화임.
- 탄소중립에 따른 건설시장 변화 대응을 위한 전략은 탄소중립 환경하의 신성장 시장 진출, 탄소중립 환경하의 감소 시장에 대한 전략적 대응임.
● 향후 탄소중립 달성 목표 시기가 다소 연기될지라도 탄소중립으로의 건설환경 패러다임 변화는 불가피하며, 국내 건설기업은 적절한 대응전략 및 과제를 도출해 추진해야 할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