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이슈포커스

레미콘 품질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출판일 2001-09-01

연구원 최민수

▶최근 도심지 교통체증의 심화 등으로 레미콘의 품질 저하가 우려되고 있으며, 레미콘공장에
   서는 골재의 품질관리와 배합관리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음.

- KS규격이나 콘크리트표준시방서 등에 의하면, 레미콘은 생산 후 90분내에 타설을 완료하도
  록 되어 있으나, 90분이 넘어서 타설되는 비율이 20% 이상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음.

▶레미콘의 안정적인 공급을 기하면서 토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도모하고, 공해나 경관 등에 따
   른 민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도심내에 지하형 레미콘공장을 허용하는 것이 필요

- 최근 환경문제 등으로 인하여 도심에 위치한 레미콘공장이 지속적으로 교외로 이전되고 있
   어 운반시간(delivery time)의 증가로 인한 레미콘의 품질 저하가 우려되고 있는 현상에 대응
- 운반시간 증가에 따른 부실 공사를 방지하기 위하여는 레미콘믹서트럭의 버스전용차선내 운
   행을 허용하는 것이 필요

▶레미콘의 배합설계가 각 사별로 편차가 심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지역별로 골재 등 원자재
   의 품질 실태를 고려하여 통일 배합설계안을 도출하고, 이를 보급하는 것이 필요

▶레미콘을 하역하는 장소에서 센서(censor) 등을 통하여 즉시 압축강도의 합부를 판정할 수
   있도록 조기품질판정기법을 제도화하는 것이 필요

- 레미콘의 강도시험은 28일간 양생한 표준 공시체의 강도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현장 시공
   직전에 품질을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
- 레미콘 검사방법의 일환으로서 레미콘공장에 자동계량기록장치를 설치하고, 레미콘 원재료
   의 계량치를 자동적으로 납입서에 기록하여 출하하도록 규제하는 방안을 검토

▶골재의 품질 확보를 위하여는 레미콘공장내 골재저장탱크와 중간유통기지의 건설이 필요

- 레미콘공장에서는 대부분 골재를 야적하여 관리하고 있으나, 함수율 등 골재의 품질 확보를
   위하여는 골재저장탱크를 설치하여 관리하는 것이 필요
- 쇄석골재 혹은 바다골재 생산업체가 밀집한 지역을 대상으로 중간유통기지를 건설하여 각 사
   에서 공급되는 골재를 균등하게 혼합하여 소요의 품질(입도, 실적률, 염화물량, 표면수율 등)
   로 조정하고, 품질검사후 시험성적서를 첨부하여 수요처에 공급하는 체제를 검토

▶KS규격을 개정하여 레미콘 생산규격을 단순화하고, 시험작업의 간소화, 운반시간 한도 규정
   의 완화와 더불어 레미콘 생산방식의 다변화를 허용할 필요성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