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능 자재의 사용에 의한 기능인력 수요절감 효과 분석
출판일 2003-01-23
연구원 이종수
- 국내 건설 현장에서 고성능 자재의 사용이 원활하지 못한 이유는 다음과 같음.
· 일반적으로 고성능 자재는 생산 원가가 높기 때문에 건설산업에 대량으로 도입하기가 어려움.
· 기존 자재만으로도 어느 정도 성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굳이 고성능 자재를 도입할 필
요가 있는가 하는 회의적인 시각이 지배적임.
· 고성능 자재의 활용 효과에 대한 수요 및 이해가 상당히 부족한 편임.
- 건설 현장의 기능인력 부족 현상은 국내외 공통적인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향후 더욱
심각해 질 것으로 예상됨. 따라서 고성능·고강도 자재를 활용함으로써 기능인력의 수요 절감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음.
- 국내외 고강도 콘크리트의 사용 현황을 살펴보면 선진국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 국가에서도
압축강도 400∼500kgf/cm2의 콘크리트 사용이 상용화되어 있고, 특히 캐나다의 경우에는 압
축강도 8,000kgf/cm2의 초강도 콘크리트가 개발된 상태임. 그러나 국내의 경우 최근에 들어
서 주상복합건물의 기둥에 800kgf/cm2의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한 실적이 있으나 외국과
비교할 때 고강도 콘크리트의 상용화 수준은 상당히 뒤쳐져 있는 실정임.
- 국내에서 콘크리트 강도를 변경하여 고강도 콘크리트를 활용한 사례에 의하면 강도 증가에 따
른 거푸집 물량 감소, 콘크리트 타설량 감소, 강재의 규격 감소 등으로 전체 공사비의 약 13∼
14% 정도 절감한 것으로 보고됨. 이는 기능인력 수요의 약 3.8%에 해당하는 절감 효과를 의미함.
- 기둥 혹은 보와 같은 단일 부재에서 고강도 콘크리트와 고강도 철근을 사용할 경우의 재료비
와 인건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고강도화에 따라 자재의 단위생산비용은 상승되나 투입량
이 감소하면서 전체공사비 측면에서는 재료비의 절감이 가능함. 특히 콘크리트와 철근 작업
에 소요되는 기능 인력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 향상 및 경제적인 시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됨.
- 콘크리트 자재의 고강도화는 현장 작업량(Quantity)을 줄일 수 있음으로써 기능인력의 절감
효과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의 구성 재료인 모래·자갈 등 국내에 부족한 원재료의 수요까지 줄
일 수 있는 효과가 있음.
- 자재 성능의 고기능화와 고강도화 등은 건설 기능인력 수요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
로 기대되므로 건설 현장 기능인력의 수급 불균형을 해소하는 측면에서 산·학·연 공동협력을
통하여 고강도·고성능 자재에 대한 연구개발이 지속될 필요성이 있음.
· 일반적으로 고성능 자재는 생산 원가가 높기 때문에 건설산업에 대량으로 도입하기가 어려움.
· 기존 자재만으로도 어느 정도 성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굳이 고성능 자재를 도입할 필
요가 있는가 하는 회의적인 시각이 지배적임.
· 고성능 자재의 활용 효과에 대한 수요 및 이해가 상당히 부족한 편임.
- 건설 현장의 기능인력 부족 현상은 국내외 공통적인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향후 더욱
심각해 질 것으로 예상됨. 따라서 고성능·고강도 자재를 활용함으로써 기능인력의 수요 절감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음.
- 국내외 고강도 콘크리트의 사용 현황을 살펴보면 선진국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 국가에서도
압축강도 400∼500kgf/cm2의 콘크리트 사용이 상용화되어 있고, 특히 캐나다의 경우에는 압
축강도 8,000kgf/cm2의 초강도 콘크리트가 개발된 상태임. 그러나 국내의 경우 최근에 들어
서 주상복합건물의 기둥에 800kgf/cm2의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한 실적이 있으나 외국과
비교할 때 고강도 콘크리트의 상용화 수준은 상당히 뒤쳐져 있는 실정임.
- 국내에서 콘크리트 강도를 변경하여 고강도 콘크리트를 활용한 사례에 의하면 강도 증가에 따
른 거푸집 물량 감소, 콘크리트 타설량 감소, 강재의 규격 감소 등으로 전체 공사비의 약 13∼
14% 정도 절감한 것으로 보고됨. 이는 기능인력 수요의 약 3.8%에 해당하는 절감 효과를 의미함.
- 기둥 혹은 보와 같은 단일 부재에서 고강도 콘크리트와 고강도 철근을 사용할 경우의 재료비
와 인건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고강도화에 따라 자재의 단위생산비용은 상승되나 투입량
이 감소하면서 전체공사비 측면에서는 재료비의 절감이 가능함. 특히 콘크리트와 철근 작업
에 소요되는 기능 인력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 향상 및 경제적인 시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됨.
- 콘크리트 자재의 고강도화는 현장 작업량(Quantity)을 줄일 수 있음으로써 기능인력의 절감
효과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의 구성 재료인 모래·자갈 등 국내에 부족한 원재료의 수요까지 줄
일 수 있는 효과가 있음.
- 자재 성능의 고기능화와 고강도화 등은 건설 기능인력 수요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
로 기대되므로 건설 현장 기능인력의 수급 불균형을 해소하는 측면에서 산·학·연 공동협력을
통하여 고강도·고성능 자재에 대한 연구개발이 지속될 필요성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