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이슈포커스

해외건설시장 경쟁 패러다임의 변화와 시사점

출판일 2003-01-23

연구원 이복남·이영환

- 국내 건설시장은 성장세가 둔화되고 DDA(도하개발아젠다) 협약 체결이 예상되는 2005년도
   이후부터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따라서, 정부와 건설기업은 국가 및
   산업 전략 차원에서 그리고 기업생존 차원에서 해외건설시장을 재인식하고 대응책을 마련하
   여야 함.

- 세계건설시장에서 턴키 발주방식이나 민간투자사업 발주방식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국제금융 시장에 대한 전문지식 및 활용능력과 프로세스관리(사업관리) 전문기술이 전통적인
  생산기술력을 제치고 시장에서의 핵심 경쟁 요소로 등장하였음. 이렇듯 최근 수 년 동안 해외
  건설시장의 경쟁력을 지배하는 패러다임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음.
  
- 글로벌 건설기업은 다국적기업에서 초(超)국적기업으로 변신하고 있으며 자사에 필요한 역량
  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을 인수합병(M&A)함으로써 환경변화에 발빠르게 적응하는 전략을 구
  사하고 있음.

- 또한 글로벌 건설기업은 지주회사와 해당 지역별/국가별/상품별 개별기업들을 그룹화하여 초
  대형 건설기업으로 변모하고 있음. 이런 환경변화에 대한 기업 생존전략으로써 사업 포트폴리
  오 전략을 수립하여 글로벌 경영 체제와 불확실성의 시대를 헤쳐나가고 있음.

- 국내 건설기업은 사업포트폴리오 차원에서 해외건설시장을 선택시장이 아닌 대체시장으로서
  의 기능과 역할을 가지는 필수시장으로 보는 인식의 전환이 요구되며, 이런 관점에서 해외건
  설시장의 진출 확대에 관한 국가전략과 산업전략을 새롭게 짜야 함.

- 글로벌 건설기업들의 기업 인수합병(M&A)을 통한 초대형화, 사업구조 다각화, 사업포트폴리
  오 등의 전략에 관해서 철저한 벤치마킹(Bench Marking)이 필요함. IMF 금융위기 이후, 국
  내 건설기업의 단순 축소 지향적인 기업구조 조정은 재고되어야 하며 건설기업별로 장기적인
  경영전략을 수립하여 사업구조 다각화와 사업포트폴리오 전략 능력을 갖춰야 함.

- 해외건설시장에서 요구하는 ''One Stop Service(일괄서비스)''에 대응하여 국내기업들
  은 ''Total Solution(만능해결사)'' 혹은 ''Multi-Player(전천후 기업)'' 전략으로 맞서야 함. 정부
  는 이런 국내 건설산업을 뒷받침하는 제도와 해외건설시장 진출업체들을 장기적이고 집중적
  으로 지원하는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여야 함. 또한 국내 건설기업의 해외건설시장 진출을
  촉진하기 위한 인센티브제도를 한시적으로 도입하여 이른바 “건설수출 드라이브”정책을 마련
  해야 할 시기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