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건설 5강 진입을 위한 건설전문가 5000명 양성
출판일 2007-06-01
연구원 이복남,김우영,장현승
▶ 해외시장진출에 있어서 건설전문가 부족 현상
- 국내시장에서 필요로 하는 건설 전문인력은 양과 질 모두에서 수요를 초과하는 공급과잉 상태에 있는 것과는 달리 해외시장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가는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태임.
- 과거 국내 기업들의 해외시장 경쟁력은 양질의 인력을 비교적 저가에 공급하는 것이었으나, 최근 들어 인건비에 대한 경쟁력은 중국이나 터키, 인도 등에 의해 잠식되고 있음. 더욱이 시공이나 설계 등 직접 생산 활동에 투입되는 인력의 경우 가격 대비 생산기술 측면의 경쟁력을 회복할 수 있는 기회는 상당기간 확보하기 힘들 것으로 판단됨.
- 앞으로 중국과 인도 등 미래의 인재공장으로 등장하게 될 국가들과의 경쟁에서 우리나라가 앞서기 위해서는 지금부터라도 인건비 경쟁시장에서 전문기술 경쟁시장으로 진입을 준비해야 할 필요가 있음.
▶ 국내 건설인력 수급 현황 및 현안
- 건설산업에서 필요한 전문지식 및 경험은 강의나 교재를 통해 얻는 방식과 사업 현장에서 상급자로부터 습득하는 도제 방식에 의하여 획득할 수 있음. 현재까지 국내 업체들의 해외건설 시장 전문가의 양성은 강의나 교재가 아닌 도제 방식을 통한 대물림이었다는 평가임. 그러나 이제는 도제 방식의 핵심이 되는 실무학습교사(일종의 ‘mentor'')진의 고령화로 인해 맥이 끊길 위기에 직면해 있음.
▶ 글로벌 건설전문가 양성 방향
- 국내 기업들이 해외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 및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사업부서장 혹은 팀장급 이상의 전문가를 육성하여야 함. 개별 사업에서 팀장급 이상에게 요구하는 역량 비중은 기업경영(business management) 부문은 약 10%이나 프로젝트관리(project management) 혹은 프로세스관리 부문은 70% 정도로 매우 높은 편임.
- 국내 기업들이 해외시장에서 경쟁력을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생산기술력 부문보다는 리더급 기술자를 포함한 관리전문인력의 역량을 단기간에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함. 또한 경쟁 상대국 기업을 미국이나 영국 등 선진국 기업들로 정하여 역량을 키워야 중국이나 터키 등 개발도상국 기업들과 전문기술 역량에서 차이를 넓힐 수 있을 것임.
▶ 글로벌 건설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구상(안)
- 글로벌 건설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은 국내 내수시장 중심이 아닌 세계건설시장에서 기술 및 프로젝트관리 분야의 리더십을 발휘 할 수 있는 역량 확보를 전제로 한 교육 프로그램임.
- 본 양성 프로그램(안)은 구상안에 불과하나 미래를 내다보고 준비하여야 할 국가적 R&D 과제임.
- 국내시장에서 필요로 하는 건설 전문인력은 양과 질 모두에서 수요를 초과하는 공급과잉 상태에 있는 것과는 달리 해외시장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가는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태임.
- 과거 국내 기업들의 해외시장 경쟁력은 양질의 인력을 비교적 저가에 공급하는 것이었으나, 최근 들어 인건비에 대한 경쟁력은 중국이나 터키, 인도 등에 의해 잠식되고 있음. 더욱이 시공이나 설계 등 직접 생산 활동에 투입되는 인력의 경우 가격 대비 생산기술 측면의 경쟁력을 회복할 수 있는 기회는 상당기간 확보하기 힘들 것으로 판단됨.
- 앞으로 중국과 인도 등 미래의 인재공장으로 등장하게 될 국가들과의 경쟁에서 우리나라가 앞서기 위해서는 지금부터라도 인건비 경쟁시장에서 전문기술 경쟁시장으로 진입을 준비해야 할 필요가 있음.
▶ 국내 건설인력 수급 현황 및 현안
- 건설산업에서 필요한 전문지식 및 경험은 강의나 교재를 통해 얻는 방식과 사업 현장에서 상급자로부터 습득하는 도제 방식에 의하여 획득할 수 있음. 현재까지 국내 업체들의 해외건설 시장 전문가의 양성은 강의나 교재가 아닌 도제 방식을 통한 대물림이었다는 평가임. 그러나 이제는 도제 방식의 핵심이 되는 실무학습교사(일종의 ‘mentor'')진의 고령화로 인해 맥이 끊길 위기에 직면해 있음.
▶ 글로벌 건설전문가 양성 방향
- 국내 기업들이 해외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 및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사업부서장 혹은 팀장급 이상의 전문가를 육성하여야 함. 개별 사업에서 팀장급 이상에게 요구하는 역량 비중은 기업경영(business management) 부문은 약 10%이나 프로젝트관리(project management) 혹은 프로세스관리 부문은 70% 정도로 매우 높은 편임.
- 국내 기업들이 해외시장에서 경쟁력을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생산기술력 부문보다는 리더급 기술자를 포함한 관리전문인력의 역량을 단기간에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함. 또한 경쟁 상대국 기업을 미국이나 영국 등 선진국 기업들로 정하여 역량을 키워야 중국이나 터키 등 개발도상국 기업들과 전문기술 역량에서 차이를 넓힐 수 있을 것임.
▶ 글로벌 건설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구상(안)
- 글로벌 건설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은 국내 내수시장 중심이 아닌 세계건설시장에서 기술 및 프로젝트관리 분야의 리더십을 발휘 할 수 있는 역량 확보를 전제로 한 교육 프로그램임.
- 본 양성 프로그램(안)은 구상안에 불과하나 미래를 내다보고 준비하여야 할 국가적 R&D 과제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