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유가 상승이 건설산업에 미치는 영향
출판일 1999-12-01
연구원 윤영선,
- 99년 3월 OPEC의 감산 합의 이후 원유 도입 단가는 10월 현재 100.4% 상승한 22달러 대를 기록하고 있음.
- 최근 원유가 상승이 건설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건설생산비용의 상승과 해외건설 수주 증대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나타날 수 있음.
- 산업연관표의 가격파급효과 분석을 적용하여 원유 가격 변동이 산업 부문별 생산물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원유가 10% 상승시 교통시설 건설이 0.14%로 생산비 상승이 가장 크고, 주택건축 부문은 0.09%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남.
- 실제로 지난 3월 이후 10월까지 원유 가격이 100.4% 상승한 파급효과는 100억원 규모의 교통시설 건설 공사에서 비용을 1억 3,900만원 상승시킨 것으로 나타남.
- 원유가 10% 상승이 주요 건자재 생산비용의 상승에 미치는 효과를 보면, 아스팔트 제품 등 기타비금속의 광물 제품은 0.33%, 그리고 시멘트와 레미콘 등은 0.21%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남.
- 한편, 감산 합의가 잘 이행될 경우 OPEC 국가들의 원유 수입은 크게 증가하여 2000년도 공공공사 발주액은 98년보다 약 41.6% 증가한 1,518억 달러가 될 것으로 추정됨.
- 실제로 99년 유가 호전 이후 중동지역의 공공공사 발주 건수 및 금액(1∼9월 기간)은 각각 412건과 273억 달러로 증대 추세에 있음.
- 우리나라는 98년 이후 중동지역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는데, 이는 향후 이들 국가의 공공부문 발주 물량 증대에 부응할 수 있는 좋은 여건으로 작용할 것임.
- 최근 중동지역 발주는 턴키 위주의 플랜트 비중 증대와 프로젝트 파이낸싱 요구 등 두 가지 특성을 보이고 있음.
- 유가 상승의 긍정적인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업계는 턴키공사 수행 능력과 시스템 관리자(system organizer)로서의 역량을 제고하여야 함.
- 한편, 국내 건설경기 진작을 위한 지원정책의 지속적인 추진, 건자재 DB의 제공 및 중동 제국과의 경제협력 추진등 정부의 다각적인 노력이 요망됨.
- 최근 원유가 상승이 건설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건설생산비용의 상승과 해외건설 수주 증대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나타날 수 있음.
- 산업연관표의 가격파급효과 분석을 적용하여 원유 가격 변동이 산업 부문별 생산물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원유가 10% 상승시 교통시설 건설이 0.14%로 생산비 상승이 가장 크고, 주택건축 부문은 0.09%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남.
- 실제로 지난 3월 이후 10월까지 원유 가격이 100.4% 상승한 파급효과는 100억원 규모의 교통시설 건설 공사에서 비용을 1억 3,900만원 상승시킨 것으로 나타남.
- 원유가 10% 상승이 주요 건자재 생산비용의 상승에 미치는 효과를 보면, 아스팔트 제품 등 기타비금속의 광물 제품은 0.33%, 그리고 시멘트와 레미콘 등은 0.21%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남.
- 한편, 감산 합의가 잘 이행될 경우 OPEC 국가들의 원유 수입은 크게 증가하여 2000년도 공공공사 발주액은 98년보다 약 41.6% 증가한 1,518억 달러가 될 것으로 추정됨.
- 실제로 99년 유가 호전 이후 중동지역의 공공공사 발주 건수 및 금액(1∼9월 기간)은 각각 412건과 273억 달러로 증대 추세에 있음.
- 우리나라는 98년 이후 중동지역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는데, 이는 향후 이들 국가의 공공부문 발주 물량 증대에 부응할 수 있는 좋은 여건으로 작용할 것임.
- 최근 중동지역 발주는 턴키 위주의 플랜트 비중 증대와 프로젝트 파이낸싱 요구 등 두 가지 특성을 보이고 있음.
- 유가 상승의 긍정적인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업계는 턴키공사 수행 능력과 시스템 관리자(system organizer)로서의 역량을 제고하여야 함.
- 한편, 국내 건설경기 진작을 위한 지원정책의 지속적인 추진, 건자재 DB의 제공 및 중동 제국과의 경제협력 추진등 정부의 다각적인 노력이 요망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