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M/PM의 주요 쟁점과 향후 대응 방향
출판일 2011-11-25
연구원 이영환, 장철기, 최석인, 김원태, 김윤주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올해로 도입 15년째를 맞이하는 건설사업관리(CM)는 제도 도입 이후 감리 기반의 용역형 CM(CM for Fee) 시장 중심으로 성장해 왔음. 최근 들어 사업이 대형화되면서 프로그램 매니지먼트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 적용의 필요성에 따라 제도 개선 요구가 높아짐.
- 발주 방식 다양화 방안의 일환으로 도입이 추진되던 시공 책임형 CM(CM at Risk)제도가 2011년 5월 입법화되면서, 관련 시장의 변화가 예상되는 한편, 사업관리 방식 다양화 움직임에 따라 관련 시장에 진입 혹은 사업 확대를 준비하는 건설기업의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함.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외 CM/PM 환경 변화에 따른 향후 대응 방향을 도출하기 위하여 국내외 CM/PM 시장, 제도, 기업의 관점에서 최근 동향을 분석하고, 최근 수행된 CM/PM 사업의 관련 주체 인식조사(평가)를 통해 국내 CM/PM 부문별 주요 성과와 쟁점 사항들을 도출함. 또한, 도출된 주요 쟁점들에 대응하기 위한 향후 과제들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올해로 도입 15년째를 맞이하는 건설사업관리(CM)는 제도 도입 이후 감리 기반의 용역형 CM(CM for Fee) 시장 중심으로 성장해 왔음. 최근 들어 사업이 대형화되면서 프로그램 매니지먼트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 적용의 필요성에 따라 제도 개선 요구가 높아짐.
- 발주 방식 다양화 방안의 일환으로 도입이 추진되던 시공 책임형 CM(CM at Risk)제도가 2011년 5월 입법화되면서, 관련 시장의 변화가 예상되는 한편, 사업관리 방식 다양화 움직임에 따라 관련 시장에 진입 혹은 사업 확대를 준비하는 건설기업의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함.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외 CM/PM 환경 변화에 따른 향후 대응 방향을 도출하기 위하여 국내외 CM/PM 시장, 제도, 기업의 관점에서 최근 동향을 분석하고, 최근 수행된 CM/PM 사업의 관련 주체 인식조사(평가)를 통해 국내 CM/PM 부문별 주요 성과와 쟁점 사항들을 도출함. 또한, 도출된 주요 쟁점들에 대응하기 위한 향후 과제들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