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산업 생산방식 변천 과정과 정책적 시사점
출판일 2011-11-28
연구원 이의섭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 하나의 시설물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시설물을 필요로 하는 자가 시설물을 건설하기 위한 기획을 하고 설계를 하고 시공을 하는 과정을 거침. 시설물을 건설하기 위한, 누가 어떠한 방식으로 기획․설계․시공 과정에서 참여하는가의 생산방식은 그 시대의 환경 및 기술 변화 등에 따라 변화하여 왔음.
- 생산방식을 결정하는 제도, 즉 프로젝트 발주방식 및 하도급방식은 경제적 환경, 기술 수준, 사회적 요구 등 시대적 배경 등에 따라 변천되어 왔으나 이에 대한 변천 과정이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지 않음.
- 따라서 건설산업 생산방식의 변천 과정을 발주방식과 하도급제도로 구분하여 생산방식을 특징 지워 주는 요소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2. 건설산업 생산방식의 정의
- 본 연구에서 건설산업 생산방식(production method)이란 건설 프로젝트(construction project)를 기획하는 단계에서부터 최종 생산물인 공사 목적물이 완성되기까지의 과정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어떠한 결합으로 어떻게 수행하는가로 정의하기로 함.
- 생산방식과 관련된 개념으로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개념이 프로젝트 발주방식(project delivery method)임. 발주자가 시설물을 건설하는 데 필요한 서비스 중 설계와 시공 서비스를 어떠한 결합으로 누구에게 책임을 부담시키면서 외주를 주어 완성하느냐에 관한 것이 프로젝트 발주 방식임.
- 또한, 프로젝트 관리방식(project management method)이란 스태핑(staffing)․조직화(organizing)․스케줄링(scheduling)․예산(budgeting)․모니터링(monitering) 등 설계․시공 과정(process of design and construction)을 조정(coordination)하는 업무에 기획 업무를 합한 개념임.
- 건설산업 생산방식은 프로젝트 발주방식에 프로젝트 관리방식을 합한 개념에 하도급방식을 통합하는 개념임.
3. 분석 방법
- 건설산업 생산방식의 변천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서 생산방식을 정의하는 특징(defining characteristics, 필요한 서비스의 결합 방식과 ‘어떻게 수행하느냐’) 이외에 참여자간의 관계(relation)와 생산과정의 선형성(linear process) 여부에 초점을 맞추어 생산방식의 변천과정을 살펴보기로 함.
1. 연구 배경 및 목적
- 하나의 시설물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시설물을 필요로 하는 자가 시설물을 건설하기 위한 기획을 하고 설계를 하고 시공을 하는 과정을 거침. 시설물을 건설하기 위한, 누가 어떠한 방식으로 기획․설계․시공 과정에서 참여하는가의 생산방식은 그 시대의 환경 및 기술 변화 등에 따라 변화하여 왔음.
- 생산방식을 결정하는 제도, 즉 프로젝트 발주방식 및 하도급방식은 경제적 환경, 기술 수준, 사회적 요구 등 시대적 배경 등에 따라 변천되어 왔으나 이에 대한 변천 과정이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지 않음.
- 따라서 건설산업 생산방식의 변천 과정을 발주방식과 하도급제도로 구분하여 생산방식을 특징 지워 주는 요소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2. 건설산업 생산방식의 정의
- 본 연구에서 건설산업 생산방식(production method)이란 건설 프로젝트(construction project)를 기획하는 단계에서부터 최종 생산물인 공사 목적물이 완성되기까지의 과정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어떠한 결합으로 어떻게 수행하는가로 정의하기로 함.
- 생산방식과 관련된 개념으로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개념이 프로젝트 발주방식(project delivery method)임. 발주자가 시설물을 건설하는 데 필요한 서비스 중 설계와 시공 서비스를 어떠한 결합으로 누구에게 책임을 부담시키면서 외주를 주어 완성하느냐에 관한 것이 프로젝트 발주 방식임.
- 또한, 프로젝트 관리방식(project management method)이란 스태핑(staffing)․조직화(organizing)․스케줄링(scheduling)․예산(budgeting)․모니터링(monitering) 등 설계․시공 과정(process of design and construction)을 조정(coordination)하는 업무에 기획 업무를 합한 개념임.
- 건설산업 생산방식은 프로젝트 발주방식에 프로젝트 관리방식을 합한 개념에 하도급방식을 통합하는 개념임.
3. 분석 방법
- 건설산업 생산방식의 변천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서 생산방식을 정의하는 특징(defining characteristics, 필요한 서비스의 결합 방식과 ‘어떻게 수행하느냐’) 이외에 참여자간의 관계(relation)와 생산과정의 선형성(linear process) 여부에 초점을 맞추어 생산방식의 변천과정을 살펴보기로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