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연구보고서

건설사업관리 비용산정

출판일 2001-07-01

연구원 이복남,

제1장 서 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2장 건설 생산 체계와 건설사업관리

 2.1 건설 생산 체계의 구성 요소

  2.1.1 산업 시스템(법과 제도)
  2.1.2 수요 시스템(발주 및 입 ·낙찰)
  2.1.3 공급 시스템
  2.1.4 거래 시스템(계약)

 2.2 발주 방식과 건설사업관리 역할 분담

  2.2.1 설계 ·시공 분리 방식(Design-Bid-Build)
  2.2.2 설계 ·시공 일괄 방식(Design-Build)
  2.2.3 건설사업관리 방식(CM)
  2.2.4 민간투자사업 방식(민자사업 방식)

 2.3 건설사업관리의 기능과 역할


제3장 건설사업관리 비용 결정의 영향 요소

 3.1 건설사업관리 비용의 정의

  3.1.1 건설사업관리비의 구성
  3.1.2 건설사업관리 비용(%)산정 대비 기준
  3.1.3 발주자의 건설사업관리 비용 산정

 3.2 총 건설사업관리 비용의 결정 요소

  3.2.1 건설 사업 규모
  3.2.2 시설물 특성
  3.2.3 발주 패키지 구분
  3.2.4 기타 프로젝트의 특성

 3.3 총 건설사업관리 비용의 배분 요소

  3.3.1 발주 방식
  3.3.2 업무 기능
  3.3.3 업무 심도

 3.4 건설사업관리 비용 영향 요소 요약


제4장 건설사업관리 위탁의 대가 산정

 4.1 건설사업관리 위탁의 방법과 유형

 4.2 건설사업관리 비용 산정 기준

  4.2.1 국내 CM 대가 산정 기준
  4.2.2 해외 CM 대가 산정 기준
  4.2.3 국내 CM 대가 기준(안)과 미국 ASCE 기준의 비교

 4.3 건설사업관리 비용 사례 분석

  4.3.1 국내 사례 분석
  4.3.2 해외 사례 분석
  4.3.3 사례 분석 결과

 4.4 건설사업관리 대가 산정

  4.4.1 국내 건설사업관리 대가 산정(안)의 문제점
  4.4.2 발주자의 건설사업관리 위탁 대가 산정


제5장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