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기업의 경영 환경 변화에 따른 정책 수요 조사
출판일 2016-08-05
연구원 임기수, 나경연, 박희대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저유가 유지 정책,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 증대 등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 증대와 정부의 건설투자 감소 기조 등으로 인하여 최근 국내 건설기업은 지속 생존을 장담하기 어려운 경영 환경에 노출되어 있음.
- 더구나, 시장경제 논리에 부합되지 않는 일부 건설산업 관련 제도와 정책은국가 취업자의 7% 이상을 고용하고 있는 국내 건설기업의 경영 유지에 커다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임.
- 이에, 본 보고서는 건설기업의 경영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제도 및 정책의 개선 사항을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음.
․설문은 대한건설협회 회원사 6,958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2015. 11. 9∼2015. 12. 4)되었으며, 총 285개 기업의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음(회수율 4.1%).
․2014년 시공능력평가액 기준 1∼100위 미만 18개 기업, 100위 이상∼500위 미만 47개 기업, 500위 이상~1,000위 미만 61개 기업, 1,000위 이상 159개 기업이 설문에 응답하였음.
․조사 항목은 기존 1996∼2005년 건설업계의 주요 현안에 대해 분석 후 이를 바탕으로 추가적인 애로 사항을 파악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작성하였음.
․더불어, 건설 정책의 문제점과 주요 현안, 국내 건설기업의 기술 및 공사수행 여건, 건설 하도급 관련 주요 이슈 등을 포함하여 설문을 구성하였음.
- 더구나, 시장경제 논리에 부합되지 않는 일부 건설산업 관련 제도와 정책은국가 취업자의 7% 이상을 고용하고 있는 국내 건설기업의 경영 유지에 커다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임.
- 이에, 본 보고서는 건설기업의 경영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제도 및 정책의 개선 사항을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음.
․설문은 대한건설협회 회원사 6,958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2015. 11. 9∼2015. 12. 4)되었으며, 총 285개 기업의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음(회수율 4.1%).
․2014년 시공능력평가액 기준 1∼100위 미만 18개 기업, 100위 이상∼500위 미만 47개 기업, 500위 이상~1,000위 미만 61개 기업, 1,000위 이상 159개 기업이 설문에 응답하였음.
․조사 항목은 기존 1996∼2005년 건설업계의 주요 현안에 대해 분석 후 이를 바탕으로 추가적인 애로 사항을 파악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작성하였음.
․더불어, 건설 정책의 문제점과 주요 현안, 국내 건설기업의 기술 및 공사수행 여건, 건설 하도급 관련 주요 이슈 등을 포함하여 설문을 구성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