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연구보고서

국내 건설기업의 스마트 기술활용 현황과 활성화 방향

출판일 2019-12-26

연구원 이광표․최수영․손태홍․최석인

- 건설산업은 디지털 기술을 산업 내에 도입하고 적용해 공사 기간을 단축하고 공사비를 절감하는 등 궁극적으로 생산성 제고와 수익성 개선의 기회로 활용하려고 노력하고 있음.
․건설산업의 생산성 제고 및 수익성 개선 측면에서 혁신을 유도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의 활용 주체는 기업이며, 벡텔 등 글로벌 선진 기업의 경우 이미 디지털 기술의 도입 및 적용을 목표로 내부 조직, 시스템, 업무 프로세스 등의 인프라를 개선하고 있음.
․영국, 일본, 싱가포르 등은 스마트 건설기술의 산업 내 도입과 적용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목표, 추진 방향, 각종 지원 정책 등을 제시하고 있음.

- 우리 정부 및 국토교통부 또한 지난 2018년 건설산업에 적용성이 높은 주요 스마트 기술을 ‘스마트 건설기술’로 정의하고, 이를 산업 내 효과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활성화 방안과 로드맵 등을 제시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설산업의 전통적인 설계 및 생산 체계의 경직성, 새로운 기술 적용에 따른 기업의 비용적 리스크, 기술 도입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존 제도와의 상충 등이 여전히 기술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음.

-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건설산업의 특성을 고려하면서, 기술의 불확실성, 기존 제도와의 상충 등을 해소할 수 있는 정부 차원의 산업 환경 지원이 필요함. 또한, 건설기업은 새로운 기술을 활용하기 위한 전략과 더불어 중장기적 방향성을 정립하고, 이와 연계한 세부적인 계획을 수립해야 함.

- 특히, 건설산업 환경 측면에 대한 정부의 지원과 스마트 기술의 도입 및 적용을 위한 기업의 전략과 계획을 효과적으로 수립하기 위해서는 건설기업들의 역할과 규모 등을 고려한 스마트 기술의 활용 현황에 대한 명확한 파악이 선행되어야 함.

- 본 연구는 국내 건설기업의 역할과 규모에 따른 스마트 건설기술 활용 실태를 조사하고, 이를 반영하여 스마트 기술 활용 수준에 따른 정부와 산업의 역할과 기업의 전략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국내 건설산업 내 스마트 기술 활성화를 유도하고자 함.
․본 연구는 건설기술교육원이 발주하여 지난 2018년 10월부터 2019년 8월까지 수행한 ‘미래 건설 기술인력 육성 전략 연구’의 미래 건설기술에 대한 수요 조사 결과의 일부를 활용하여 재정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