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산업의 PMIS개발 현황과 발전방안
출판일 2003-03-20
연구원 문정호.송병관
1. 건설산업 정보화와 PMIS
- 건설산업 정보화의 구조
(1) 산업차원의 정보화
- 다양한 참여자가 관계를 맺고 있는 복합적인 산업임.
- 건설산업의 참여자간 정보화 기술을 활용한 상호 관계 및 e-비즈니스의 활성화
(2) 기업차원의 정보화
- 내부 경영 및 업무 프로세스상의 정보화 달성
- 업무간 관련성에 의한 프로세스의 통합으로 진화
- 건설 현장관리 기능과 본사의 업무 프로세스와의 연계 및 통합
(3) 건설사업관리(Project Management) 차원의 정보화
- 참여자 간의 유기적인 관계 형성 및 총생애주기(Life Cycle) 생산, 관리
- 건설기업의 현장업무 프로세스의 정보화, 즉 현장관리시스템과의 연계
○ PMIS의 정의 및 구성
- PMIS의 개념은 과학적인 공정관리기법(Time Based Management)을 바탕으로 계획을 수
립하고 실적을 분석하여; 건설하고자 하는 시설물의 성공적인 완성과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
여; 건설프로젝트의 Life Cycle인 기획단계에서부터 유지관리 단계까지의 발주자, 사업관리
자, 건설사업자, 설계/감리자 사이의 정보 흐름을 원활하게 관리하여; 경영에서 합리적인 의
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프로젝트 전반에 대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관리 절차시스템을 구축
하는 솔루션이라 할 수 있다. PMIS의 구성은 사업관리자와 발주자가 요약된 정보를 조회 및
심사, 승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시스템으로 반드시 정형화된 구성을 지닌다고 볼 수는 없으
나 대체로 다음과 같은 핵심요소를 갖추고 있다.
- 공정관리 - 원가관리 - 품질관리 - 자재관리
- 계약/구매관리 - 설계/문서관리 - 안전/환경관리
○ PMIS와 e-collaboration 기대효과
- 궁극적으로 PMIS는 참여자간 정보의 흐름을 파악하고 정보소통을 원활히 하는 collaboration
도구라는 의미로 발전해 오고 있다. 특히 미국의 경우에는 실제 건설 생산 과정·방식 및 관리
기법과 관련된 컴퓨터 및 인터넷 기반의 해결책을 제시해 주는 소위 "솔루션(solution)" 분야
가 발전되어 이들이 개발한 솔루션들을 통상적으로 collaboration으로 칭하고 있다. PWC
(Price Waterhouse Coopers)에 따르면 지난 1990년대 이후 이와 같은 collaboration의 수단
의 효과가 참여자 다수에게 상당한 이익을 주고 있음을 분석하여 보고하고 있다.
○ PMIS와 건설 CALS/CITIS
- 건설산업에서의 생산과정은 개별 공사현장 및 기업 단위의 정보화보다 더 큰 전체 산업적인
맥락의 정보화 수준을 요구한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통합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전략
적 개념이 건설CALS이며 정부는 2005년까지 건설CALS체계 구축을 추진 중에 있다. 건설
CALS 체계 내에서 PMIS 솔루션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부분은 2003년부터 공공건설산업
에 적용될 예정인 건설CITIS이다. CITIS는 주계약자가 정부와의 계약에 의거, 사업수행에
필요하다고 상호 협의한 기술정보 및 비즈니스 정보를 공급자는 전자적으로 제공하며, 발주
자는 전자적으로 접근 가능하도록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전자적 수단으로 성과물의
납품이 가능하도록 정보를 개발하고 유지하는 서비스(미 국방부 MIL-STD-974)의 개념을 말
한다.
- 건설산업 정보화의 구조
(1) 산업차원의 정보화
- 다양한 참여자가 관계를 맺고 있는 복합적인 산업임.
- 건설산업의 참여자간 정보화 기술을 활용한 상호 관계 및 e-비즈니스의 활성화
(2) 기업차원의 정보화
- 내부 경영 및 업무 프로세스상의 정보화 달성
- 업무간 관련성에 의한 프로세스의 통합으로 진화
- 건설 현장관리 기능과 본사의 업무 프로세스와의 연계 및 통합
(3) 건설사업관리(Project Management) 차원의 정보화
- 참여자 간의 유기적인 관계 형성 및 총생애주기(Life Cycle) 생산, 관리
- 건설기업의 현장업무 프로세스의 정보화, 즉 현장관리시스템과의 연계
○ PMIS의 정의 및 구성
- PMIS의 개념은 과학적인 공정관리기법(Time Based Management)을 바탕으로 계획을 수
립하고 실적을 분석하여; 건설하고자 하는 시설물의 성공적인 완성과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
여; 건설프로젝트의 Life Cycle인 기획단계에서부터 유지관리 단계까지의 발주자, 사업관리
자, 건설사업자, 설계/감리자 사이의 정보 흐름을 원활하게 관리하여; 경영에서 합리적인 의
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프로젝트 전반에 대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관리 절차시스템을 구축
하는 솔루션이라 할 수 있다. PMIS의 구성은 사업관리자와 발주자가 요약된 정보를 조회 및
심사, 승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시스템으로 반드시 정형화된 구성을 지닌다고 볼 수는 없으
나 대체로 다음과 같은 핵심요소를 갖추고 있다.
- 공정관리 - 원가관리 - 품질관리 - 자재관리
- 계약/구매관리 - 설계/문서관리 - 안전/환경관리
○ PMIS와 e-collaboration 기대효과
- 궁극적으로 PMIS는 참여자간 정보의 흐름을 파악하고 정보소통을 원활히 하는 collaboration
도구라는 의미로 발전해 오고 있다. 특히 미국의 경우에는 실제 건설 생산 과정·방식 및 관리
기법과 관련된 컴퓨터 및 인터넷 기반의 해결책을 제시해 주는 소위 "솔루션(solution)" 분야
가 발전되어 이들이 개발한 솔루션들을 통상적으로 collaboration으로 칭하고 있다. PWC
(Price Waterhouse Coopers)에 따르면 지난 1990년대 이후 이와 같은 collaboration의 수단
의 효과가 참여자 다수에게 상당한 이익을 주고 있음을 분석하여 보고하고 있다.
○ PMIS와 건설 CALS/CITIS
- 건설산업에서의 생산과정은 개별 공사현장 및 기업 단위의 정보화보다 더 큰 전체 산업적인
맥락의 정보화 수준을 요구한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통합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전략
적 개념이 건설CALS이며 정부는 2005년까지 건설CALS체계 구축을 추진 중에 있다. 건설
CALS 체계 내에서 PMIS 솔루션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부분은 2003년부터 공공건설산업
에 적용될 예정인 건설CITIS이다. CITIS는 주계약자가 정부와의 계약에 의거, 사업수행에
필요하다고 상호 협의한 기술정보 및 비즈니스 정보를 공급자는 전자적으로 제공하며, 발주
자는 전자적으로 접근 가능하도록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전자적 수단으로 성과물의
납품이 가능하도록 정보를 개발하고 유지하는 서비스(미 국방부 MIL-STD-974)의 개념을 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