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연구보고서

건자재 산업 동향 및 전망

출판일 2004-03-05

연구원 최민수

건설업에서는 그 동안 공사 수주나 마케팅이 최대의 관심사였으며, 건자재 조달 업무는 필요한 건자재를 적기에 공급하는 것이 주요 역할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최저가 낙찰제의 도입 등 건설업의 대내외적 환경이 급변하면서 건자재 조달의 역할이 적기 공급이라는 소극적 역할에서 벗어나 원가 절감과 수익성 제고라는 적극적 역할로 변화되고 있다.
건설공사 원가에서 자재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외주비에 포함된 자재비를 포함할 때 35~50%에 달하고 있다. 이는 건자재 조달 부문의 원가 절감이 건설 비용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며, 건설업체의 수익성과 수주 경쟁력에 직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건자재 조달 기능의 강화가 요구되며, 장기적으로 조달 체계의 틀을 새로 짜야 할 필요성이 있다.
건설업체에서 건자재의 구매․조달에 있어 능동적인 전략을 수립하고, 합리적인 의사 결정을 행하기 위하여는 건자재 시장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데, 건자재 품목별로 시장 구조, 소비 행태, 기술 동향 등에 대한 자료가 미흡하여 효율적인 의사 결정이 어렵고, 나아가 가격 협상력이 취약해지고 있다.
또한, 건설 기술의 발전은 건자재 측면의 기술 개발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나, 설계 단계에서 신제품․신기술을 적용함에 있어 건자재 기술 동향에 대한 자료가 극히 미흡하다. 이에 따라 건설업체 측면에서는 신제품․신기술의 활용이 미흡해지는 한편, 우수한 성능을 갖춘 건자재의 조달에 애로가 발생하고 있다.
건자재 조달에 있어 가격 협상력을 제고하고, 우수한 품질의 자재를 적기에 공급하기 위하여는 전반적인 조달․구매 시스템의 개선과 더불어 개별 건자재에 대한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요구된다. 건자재별로 가격 결정의 메커니즘과 공급 시장의 추이, 원자재 가격의 결정 인자 등을 파악하고, 필요한 경우 글로벌소싱(global sourcing)을 추구하는 등 건자재 품목별로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자재 조달과 연계된 설계나 시공 분야 등 전․후방 업무와 연계하여 전략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다.
이와 같이 건자재 조달 업무를 원활히 수행하고, 건설공사의 원가 절감과 성능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는 건자재 시장의 구조 및 수급 행태 분석과 더불어 기술 개발 동향에 대하여 심도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한편, 공급자 측면에서도 건자재 산업과 관련된 연구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정부 조달 측면에서 보면, 건자재 업체와의 단체수의계약 등을 원활히 추진하기 위하여는 건자재 시장에 대한 분석이 필수적이다.
설계자 측면을 보면, 건설 구조물의 품질 향상과 원가 절감을 위하여는 설계 단계에서 건자재의 선택이 매우 중요하나, 건자재 시장 및 기술 동향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 제공이 미흡하다.
건자재 업체 측면에서는 업종별 경쟁이 심화되면서 업계의 중․장기적 발전을 위한 대책이 미흡하다. 소비자 니즈(needs)의 변화, 해외의 기술 개발 동향 등을 고려한 기술 도입이나 경쟁 기술의 개발도 미흡하다. 따라서 체계적인 산업 분석을 통하여 시장 구조의 개편이나 기술 개발의 방향을 정립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본 연구에서는 건자재 산업 관련 연구의 첫 번째 시도로서 건자재 시장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레미콘 산업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레미콘 산업의 시장 구조 및 기술 동향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레미콘의 조달․구매 업무에 필요한 시장 정보를 제공하고, 중․장기적으로 레미콘의 기술 개발 방향 및 수급 안정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레미콘 산업의 육성을 위한 정부의 대응책을 제안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