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상품별 중장기 시장 전망(Ⅱ) -비주택부문-
출판일 2004-12-20
연구원 권오현,최민수
국내의 건설 경기는 2000년 이후 부동산 경기의 활성화와 더불어 큰 폭으로 상승하였는데, 건설 투자의 내용을 보면, IMF 외환 위기시 일시 위축되었던 투자가 지연 실현되었다는 측면과, 다른 한편에서는 재건축이나 다가구 주택 등 각종 규제가 강화되면서, 미래에 이루어질 투자가 조기에 실현된 측면이 있음.
― 향후 비주거용 건축 시장은 뚜렷한 성장 동력의 부재, 산업 구조의 급격한 변화,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지역 균형 발전 정책 등으로 상당한 구조 변화가 예상됨.
․ 최근 제조업의 침체, 내수 위축, 성장 엔진의 부재, 인구 증가율의 둔화, 정치 불안 등으로 인하여 비주택 시장은 장기 불황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이러한 건설산업의 구조적 변화가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건설업체들은 과거에 수립한 기업 경영 전략을 재검토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음.
― 본 연구에서는 향후 비주택 부분에서 예상되는 수요 구조 변화를 분석하고, 특히 향후 성장 가능성이 큰 건축 수요 부문을 전망함으로써 건설 기업들의 경영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자 함.
― 향후 비주거용 건축 시장은 뚜렷한 성장 동력의 부재, 산업 구조의 급격한 변화,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지역 균형 발전 정책 등으로 상당한 구조 변화가 예상됨.
․ 최근 제조업의 침체, 내수 위축, 성장 엔진의 부재, 인구 증가율의 둔화, 정치 불안 등으로 인하여 비주택 시장은 장기 불황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이러한 건설산업의 구조적 변화가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건설업체들은 과거에 수립한 기업 경영 전략을 재검토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음.
― 본 연구에서는 향후 비주택 부분에서 예상되는 수요 구조 변화를 분석하고, 특히 향후 성장 가능성이 큰 건축 수요 부문을 전망함으로써 건설 기업들의 경영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자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