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연구보고서

환경 변화와 건설 경영 패러다임의 전환

출판일 2007-02-23

연구원 김민형

최근 수년간 건설업계는 급격한 환경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가 과거와 다른 의미로 다가오는 것은 그것이 단순히 건설산업만의 변화가 아니라 우리나라 경제사회 전반의 변화와 더불어 진행된다는 점이다. 1995년 WTO가입을 필두로 본격적인 시장개방 시대를 맞이한 우리나라는 이후 IMF시기를 겪으면서 자의반 타의반으로 사회 경제 전반에 걸친 변화와 구조조정이 진행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사회현상과 경제 전반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과 시각을 변화시켰으며, 기업 경영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가져오는 계기가 되었다.

  IMF를 맞이하면서 유래없이 벌어진 대기업들의 도산 여파는 그간 우리나라 경제를 지배했었던 “대마불패(大馬不敗)”의 신화를 여지없이 무너뜨려 과거 고도성장의 주역이었던 대기업을 국가경제 추락의 주범으로 전락시켰다. 또한 이러한 기업 도산의 증가는 금융시장에 영향을 미쳐 금융산업의 일대 구조조정을 가져왔으며, 금융시장 개방 확대로 인한 금융의 국제화 진전은 금융기관이 보수적인 자금운용을 하도록 함으로써 자금조달의 불안정성을 증대시켰다. 이러한 일련의 사태에 따른 경제의 불안정성 증대는 그간 경제 전반에 걸친 구조조정의 필요성에 대해 안이하게 대처하던 정부의 위기의식을 불러일으켰으며 나아가 기업에 대한 정부와 국민의 인식과 평가 잣대를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성장만이 능사가 아니라는 시각이 업계뿐 아니라 사회전반의 기저로 자리잡게 되었으며, 산업의 유형을 불문하고 구조조정은 더 이상 낮설은 문구로 다가서지 않게 되었다. 또한, 일반 소비자들조차도 기업의 안정성을 자신의 구매기준의 하나로 평가하게 되었으며, 자신에게 가장 높은 수익을 보장하는 기업이라면 외국의 글로벌 기업도 더 이상 낮선 외국기업이라고 인식하지 않게 되었다. 한편, 시민단체의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정치적인 투명성과 더불어 기업 경영에 있어서도 윤리적이고 투명한 경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사회경제 전반에 걸친 이러한 일련의 변화는 건설산업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간 건설산업은 우리나라 전체 GDP에서 20%이상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면서 개발연대기에 우리나라 경제성장에 가장 큰 기여를 함과 동시에 가장 큰 수혜를 보면서 급격한 환경 변화나 강력한 구조조정을 거의 거치지 않고 성장해 왔다. 물론, 그동안 건설업 면허제도가 변화하고 입․낙찰제도가 수차례 변경되기는 하였으나 그것은 단순히 건설업내의 부분적인 변화로 기업의 전술적인 측면의 변화만을 요구하는 것이었을 뿐 건설업 경영의 기본적인 틀이나 이념의 변화를 요구하는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그리고 향후 건설업계가 맞이할 변화들은 우리나라 산업구조 자체의 변화와 더불어 사회경제 전반에 걸친 인식과 시각 변화에 따른 보다 근본적인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건설기업을 운영하는 틀과 이념에 대한 본질적인 변혁(Transformation) Transformation은 단순한 변화, “Change”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 전체가 가지고 있는 사고방식(해석방식: Mind Procedure)이 시대적으로 깨어지고 실재(Reality)에 대한 근본적 이해가 변환(Shift)되는 것을 의미한다(Bennis, Warren Parikh, Jagdish & Lessem, Ronnie, 1994)    
, 즉 경영 패러다임의 전환(paradigm shift)를 요구하는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요약하면, 새로운 경영 패러다임이란 기업경영에 있어서 기존의 시각과 틀을 완전히 바꾸어 새로운 시대에 걸맞는 경영형태를 적용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기업 경영에 대한 시각의 변화, 기업인의 경영 마인드 변화, 새로운 경영목표의 정립, 경영자원에 대한 인식 전환 그리고 새로운 마인드와 가치의 구현을 위한 조직 및 운영 시스템의 혁신 등이 그것이다. 이제 과거에 적용되었던 기업의 목표와 각종 전략들은 더 이상 유용한 전략이 되지 못하게 되었으며, 새로운 환경과 변화된 가치관에 걸맞는 새로운 경영의 틀로 빠르게 전환하는 기업만이 변혁기에 적응하여 살아남는 시대에 접어들게 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변혁기에 당면한 건설업체의 생존과 성장을 위해 건설업계가 현재 당면하고 있는 다양한 환경 변화 요인들을 검토하고 이러한 환경 변화에 따라 현재 건설업계에 나타나고 있는 새로운 건설 경영의 패러다임들을 살펴본 후 이에 따른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