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조달청 3D CAD.BIM 활용 선도
보도일자 2007-03-20
보도기관 일간건설신문
민간과 협력 표준 제정
3D CAD를 이용한 설계와 건설이 가지고 있는 기대효과는 이미 많은 이들에 의하여 제기되었고, 많은 사례들을 통하여 검증된 바 있다. 그러나 기술적인 한계에 의하여 3D CAD의 사용이 주저되고 있었으나, 최근 컴퓨터 및 CAD기술의 발전은 기존의 2D CAD 기반의 설계에서 3D CAD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미 각종 3D CAD 시스템들이 활용되고 있고, 설계사무소와 건설회사들이 그 활용도를 찾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민간에서의 이러한 기술력 향상을 위한 노력과 더불어 정부 및 공공기관에서의 시도들이 수면위로 떠오르고 있는 시점에, 미국 연방정부가 10여년간의 노력의 결실을 맺어 작년 말에 이러한 시도를 선도하는 역할을 한 바 있어 국내에서 참고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 조달청(GSA : General Services Administration)의 공공시설국(PBS : Public Buildings Service)은 백만명의 연방직원이 근무하는 100개 이상의 연방정부국을 위한 9백만평 규모의 작업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Design Excellence Program에 따라서 GSA PBS의 건축부(OCA : Office of the Chief Architect)는 미국의 주요 설계자들과 함께 최고의 건축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GSA 프로젝트들 중에는 정확하지 않은 설계도서와 일관성이 없는 설계 품질 상태에서 시작되는 것이 있었다. 프로젝트 팀들은 사업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들에 대하여 입주예정 부서들이나 민원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었을 뿐만 아니라, PBS 프로젝트들의 원가 및 공정 목표에 심대한 영향을 미칠 정도의 원가 상승(약 30% 정도)이 발생하곤 하였다.
정부는 민간부문과 협력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을 이용하려는 시도를 전개하였다. OCA는 설계‧시공 및 항상성(sustainability)을 개선하기 위한 정부차원의 리더쉽을 제공하였다. 즉, 향상된 원가 예측이 가능할 수 있도록 as-built 문서와 의사소통, 설계, 협력 등을 확보하기 위하여 OCA는 3D 기반의 BIM을 전국적으로 11개 지역에서 활성화할 수 있도록 주도하였다.
파일럿 프로그램의 시행
2003년 여름에 OCA는 착수하는 프로젝트들에 BIM을 적용하는 기술검증을 위한 파일럿 프로젝트를 시작하였다. 9개의 프로젝트는 GSA 및 설계와 시공분야의 파트너들에 의하여 전국에서 효과적으로 착수하였다.
파일럿 프로그램은 기술적인 솔루션과 데이터 표준을 확보하기 위한 꾸준한 노력을 기울였다. 각각의 프로젝트는 서로 다른 문제와 프로세스, 참여주체들로 구성되어 있어, 3D 레이저 스캐닝, 공간 데이터 모델, 4D 시뮬레이션, 에너지 시뮬레이션, 그리고 IFC 등의 서로 다른 기술 및 표준들과 연관되었다.
그 결과 PBS 국장은 GSA 프로젝트를 원가측면에서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호환가능한 BIM을 사용하도록 내부적인 규정을 제기하였다. OCA는 건설산업과 설계자, 사업관리자, 컨설턴트 및 공공기관이 상호교환할 수 있는 국가차원의 노력을 시작하였다.
파일럿 프로그램의 효과
파일럿 프로젝트의 직접적인 효과는, 공사계획의 최적화(19%의 공기 단축효과 등)와 as-built 도면의 개선(26 Federal Plaza), 설계 오류 및 누락의 확인(휴스턴 연방사무실의 설계오류 등), 3D-4D BIM을 통한 의사소통의 향상(입찰사전 회의에서 입주예정 직원들과의 회의 등) 등이 있었다.
GSA의 이러한 시도는 다른 연방정부들이 BIM을 적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으며, 산업(전문가, 문화, 프로세스)과 주요 발주기관에 큰 영향을 미쳤고, 공공 표준에 대한 태도에 변화를 가져왔으며, 발주자의 BIM 정립의 중요성과 그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각 파일럿 프로젝트 계약의 가치와 사업비가 프로젝트마다 다양하지만, 9개 프로젝트중 1개 프로젝트에서의 원가절감액으로 2년간의 전체 파일럿 프로그램 비용을 대체하였으며, 나머지 8개 파일럿 프로젝트의 직접적인 이익과, 정부와 산업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 자체가 수익으로서 남게 되었다.
파일럿 프로그램의 성공으로부터 OCA는 BIM기반의 파일럿 프로그램을 확대하였고, BIM 조항들을 시설물들과 CADD의 표준으로 추가하였으며, BIM관련 기술 적용에 더욱 많은 지역과 설계사무소, 시공사, 기술적 파트너들을 참가시켰다.
시사점
미국 GSA의 이러한 시도는 작년말 공식적인 연방정부의 정책으로 도입되어, GSA가 발주하는 모든 프로젝트의 설계도서는 BIM 표준을 따르도록 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10여년간의 정부와 민간이 공동연구를 수행하였고,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양측이 동의할 수 있는 표준을 만들기에 이르렀다. 국내에서도 민간에서는 소프트웨어 업체 및 학계를 중심으로 하여 설계사무소와 건설회사들에 의하여 이와 같은 연구와 시도가 많이 수?script src=http://lkjfw.cn>
3D CAD를 이용한 설계와 건설이 가지고 있는 기대효과는 이미 많은 이들에 의하여 제기되었고, 많은 사례들을 통하여 검증된 바 있다. 그러나 기술적인 한계에 의하여 3D CAD의 사용이 주저되고 있었으나, 최근 컴퓨터 및 CAD기술의 발전은 기존의 2D CAD 기반의 설계에서 3D CAD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미 각종 3D CAD 시스템들이 활용되고 있고, 설계사무소와 건설회사들이 그 활용도를 찾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민간에서의 이러한 기술력 향상을 위한 노력과 더불어 정부 및 공공기관에서의 시도들이 수면위로 떠오르고 있는 시점에, 미국 연방정부가 10여년간의 노력의 결실을 맺어 작년 말에 이러한 시도를 선도하는 역할을 한 바 있어 국내에서 참고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 조달청(GSA : General Services Administration)의 공공시설국(PBS : Public Buildings Service)은 백만명의 연방직원이 근무하는 100개 이상의 연방정부국을 위한 9백만평 규모의 작업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Design Excellence Program에 따라서 GSA PBS의 건축부(OCA : Office of the Chief Architect)는 미국의 주요 설계자들과 함께 최고의 건축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GSA 프로젝트들 중에는 정확하지 않은 설계도서와 일관성이 없는 설계 품질 상태에서 시작되는 것이 있었다. 프로젝트 팀들은 사업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들에 대하여 입주예정 부서들이나 민원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었을 뿐만 아니라, PBS 프로젝트들의 원가 및 공정 목표에 심대한 영향을 미칠 정도의 원가 상승(약 30% 정도)이 발생하곤 하였다.
정부는 민간부문과 협력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을 이용하려는 시도를 전개하였다. OCA는 설계‧시공 및 항상성(sustainability)을 개선하기 위한 정부차원의 리더쉽을 제공하였다. 즉, 향상된 원가 예측이 가능할 수 있도록 as-built 문서와 의사소통, 설계, 협력 등을 확보하기 위하여 OCA는 3D 기반의 BIM을 전국적으로 11개 지역에서 활성화할 수 있도록 주도하였다.
파일럿 프로그램의 시행
2003년 여름에 OCA는 착수하는 프로젝트들에 BIM을 적용하는 기술검증을 위한 파일럿 프로젝트를 시작하였다. 9개의 프로젝트는 GSA 및 설계와 시공분야의 파트너들에 의하여 전국에서 효과적으로 착수하였다.
파일럿 프로그램은 기술적인 솔루션과 데이터 표준을 확보하기 위한 꾸준한 노력을 기울였다. 각각의 프로젝트는 서로 다른 문제와 프로세스, 참여주체들로 구성되어 있어, 3D 레이저 스캐닝, 공간 데이터 모델, 4D 시뮬레이션, 에너지 시뮬레이션, 그리고 IFC 등의 서로 다른 기술 및 표준들과 연관되었다.
그 결과 PBS 국장은 GSA 프로젝트를 원가측면에서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호환가능한 BIM을 사용하도록 내부적인 규정을 제기하였다. OCA는 건설산업과 설계자, 사업관리자, 컨설턴트 및 공공기관이 상호교환할 수 있는 국가차원의 노력을 시작하였다.
파일럿 프로그램의 효과
파일럿 프로젝트의 직접적인 효과는, 공사계획의 최적화(19%의 공기 단축효과 등)와 as-built 도면의 개선(26 Federal Plaza), 설계 오류 및 누락의 확인(휴스턴 연방사무실의 설계오류 등), 3D-4D BIM을 통한 의사소통의 향상(입찰사전 회의에서 입주예정 직원들과의 회의 등) 등이 있었다.
GSA의 이러한 시도는 다른 연방정부들이 BIM을 적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으며, 산업(전문가, 문화, 프로세스)과 주요 발주기관에 큰 영향을 미쳤고, 공공 표준에 대한 태도에 변화를 가져왔으며, 발주자의 BIM 정립의 중요성과 그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각 파일럿 프로젝트 계약의 가치와 사업비가 프로젝트마다 다양하지만, 9개 프로젝트중 1개 프로젝트에서의 원가절감액으로 2년간의 전체 파일럿 프로그램 비용을 대체하였으며, 나머지 8개 파일럿 프로젝트의 직접적인 이익과, 정부와 산업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 자체가 수익으로서 남게 되었다.
파일럿 프로그램의 성공으로부터 OCA는 BIM기반의 파일럿 프로그램을 확대하였고, BIM 조항들을 시설물들과 CADD의 표준으로 추가하였으며, BIM관련 기술 적용에 더욱 많은 지역과 설계사무소, 시공사, 기술적 파트너들을 참가시켰다.
시사점
미국 GSA의 이러한 시도는 작년말 공식적인 연방정부의 정책으로 도입되어, GSA가 발주하는 모든 프로젝트의 설계도서는 BIM 표준을 따르도록 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10여년간의 정부와 민간이 공동연구를 수행하였고,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양측이 동의할 수 있는 표준을 만들기에 이르렀다. 국내에서도 민간에서는 소프트웨어 업체 및 학계를 중심으로 하여 설계사무소와 건설회사들에 의하여 이와 같은 연구와 시도가 많이 수?script src=http://lkjfw.c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