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언론기고

日기업 ''꼼꼼한 수주'' 주목해야

보도일자 2008-11-07

보도기관 서울신문

지금 제3의 성장기를 맞이한 우리나라 해외건설은 비약적으로 성장했다. 지난해 해외건설 수주액은 397억 9000만달러라는 경이적인 수치를 기록하였으며, 올해 수주액은 이미 400억달러를 넘어섰다.







이는 해외 건설시장에서 우리 업체들의 역량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이제 우리나라의 많은 건설업체들이 세계 유수의 업체들과 세계 시장에서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된 것이다.

그런데 우리가 너무 해외건설의 화려한 성과에 취해 간과하고 있는 어두운 그림자가 있는 것은 아닐까. 현재 우리나라 해외건설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중동의 대형 플랜트 프로젝트이다. 이 사업들은 입찰을 위한 견적은 일반적으로 입찰 마감 1~2년 전부터 준비한다. 그러다 보니 실제로 입찰하는 가격은 1~2년 전 기준의 가격이 될 수밖에 없다. 또한 중동지역의 경우 일반적으로 프로젝트 계약 시 공사기간 중 물가상승분에 대한 보상을 하지 않는다. 이같은 상황에서 최근 미국발 금융위기는 기존 발주물량의 취소에 따른 수요 위축뿐 아니라 자재가격 상승을 유발해 현재 주요 기자재 발주가 끝난 공사가 아닌 경우 수익성 확보가 곤란하거나 공사 지속이 어려울 수도 있다.

금융위기는 또 우리 기업들이 개발사업으로 가장 많이 진출한 베트남과 카자흐스탄을 비롯한 옛 소련연합 국가들에서 미국과 유럽 자금이 일시에 유출되는 사태를 초래해 현지 금융기관들을 위기로 몰아넣었다. 이에 따라 현재 현지 금융기관뿐 아니라 국내 금융기관을 통한 프로젝트 파이낸싱도 전면 중단됐고, 분양시장도 크게 침체된 상태다.

생각해보면, 우리 기업의 사업에 대한 강력한 추진력과 도전정신, 건설업체 임직원들의 돌관정신 등이 현재의 경이로운 수주실적을 가능하게 했다.

그러나 이제는 그러한 숫자 뒤에 숨어있는 그림자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할 때이다. 가까운 일본 업체들이 왜 기획에서 운영·유지를 포함해 총액계약방식으로 발주되는 턴키사업을 선별적으로 수주하고자 하고 이를 위해 일괄설계·디자인방식을 포함한 프로그램 매니지먼트 역량 강화에 주력하고 있으며, 베트남과 같은 신흥시장에 개발사업으로 진입하기 보다는 정부개발원조를 기반으로 한 인프라 사업을 통한 진입을 고집하고 있는 지 등을 생각해 볼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