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 녹색 바람
보도일자 2010-04-09
보도기관 아시아 경제
세계적으로 ''녹색성장''이 새로운 화두로 떠올랐다. 녹색성장은 기후온난화의 주범인 온실가스를 줄이면서 경제성장을 도모하는 지속가능한 성장을 의미한다. 지금 선진국에서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해 에너지 사용 저감과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려는 실천적 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이명박 대통령의 2008년 8ㆍ15 경축사 이후 녹색은 모든 정책의 주요 키워드가 됐다. 한국의 녹색성장에 대한 의지와 활동은 선진국이 놀랄 정도로 공격적이다. 인센티브를 통한 자발적인 동참을 유도하는 선진국에 비해 우리의 기조는 중앙집중형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가 세계적인 조류에 주도적 역할을 찾아가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부여하고 싶다.
건설산업에 있어서도 ''녹색''은 핵심 이슈로 자리잡고 있다. 건설과정에 투입되는 각종 기계장비와 건자재는 물론이요, 도로와 빌딩 등 건설생산물도 대표적인 온실가스 발생원이다. 건설산업은 전체 땅과 물의 20% 이상을 쓰고 천연자원의 30% 이상을 활용하며 에너지의 40% 이상을 소비한다고 지적된다. 그야말로 녹색성장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건설산업이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해야한다.
현장에서 저탄소 생산과정을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건설산업이 공정관리 방식을 혁신해야 하며, 유관산업과 협업해 친환경 기자재를 개발해야 한다. 건설생산물에 있어서는 전통적인 도로와 항만, 주택 등의 상품에 환경 가치를 추가하여 녹색건설시장을 개척해야 한다. 시설의 에너지 사용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도로 대신 철도 등 대체상품이 부각될 수 있다. 새로운 건설상품인 원자력, 태양광, 풍력, 지력, 조력 등을 포함한 신재생 에너지 시설의 공급 또한 건설산업이 담당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건설산업의 녹색화 요구에 부응하는 기술적인 진화도 이뤄져야 한다. 녹색 건설기술의 핵심은 각종 첨단 기술과 건설의 적절한 융합과 통합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정보화, 로봇화, 바이오, 나노 등의 기술은 이미 녹색건설의 핵심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최신기술의 과감한 도입과 융합은 건설산업이 첨단 산업으로 성장하는 발판이 될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산업의 국제 경쟁력도 높여줄 것이다.
녹색 건설시장은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성장이 가장 빠른 시장이 되고 있다. 2013년에 이르면 전 세계 주요 권역에서 신규로 발주되는 건축물의 30~ 60%는 녹색시설일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된다. 다른 예로 미국의 녹색 빌딩 시장은 매년 60%씩 성장하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국내 건설기업의 발 빠른 행보는 물론 정부의 효율적인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녹색성장은 건설과정에서의 추가적인 비용을 감내하더라도 사용기간 동안의 저비용과 지구 환경보호라는 사회적 가치를 도모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유인책이 마련돼야 한다. 정부는 정책과 제도를 통해 또 예산과 금융세제상의 혜택을 통해 녹색건설을 유도할 수 있다. 아직까지는 정책적 논의는 많으나 구체적으로 시설에 소요되는 추가 비용이나 기준에 대한 논의는 별로 없는 것 같다.
공공부문은 추가 예산이 소요되더라도 녹색 프로젝트의 발주를 늘려야 한다. 민간부문의 경우 보다 강력한 제도적 틀과 투자 유인책이 주어져야 할 것이다. 시간이 흘러 시설 관리비용의 저감을 통한 경제적 혜택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건강, 행복, 성취도도 향상되는 효과가 확인되면 자발적인 민간투자의 확대가 이뤄질 것이다.
친환경 건설시장은 산업의 차세대 신성장동력으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신재생에너지, 그린 건축물, 녹색 생활공간 등은 위기를 맞은 건설산업에 새로운 돌파구를 제공해줄 것이다. 따라서, 녹색성장에 있어서 건설산업이 적극적인 역할을 모색함으로써 국가 경제성장을 선도함은 물론 건설산업의 르네상스를 여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건설산업의 이미지가 개선될 수만 있다면 금상첨화가 아닐까 생각한다.
우리나라 역시 이명박 대통령의 2008년 8ㆍ15 경축사 이후 녹색은 모든 정책의 주요 키워드가 됐다. 한국의 녹색성장에 대한 의지와 활동은 선진국이 놀랄 정도로 공격적이다. 인센티브를 통한 자발적인 동참을 유도하는 선진국에 비해 우리의 기조는 중앙집중형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가 세계적인 조류에 주도적 역할을 찾아가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부여하고 싶다.
건설산업에 있어서도 ''녹색''은 핵심 이슈로 자리잡고 있다. 건설과정에 투입되는 각종 기계장비와 건자재는 물론이요, 도로와 빌딩 등 건설생산물도 대표적인 온실가스 발생원이다. 건설산업은 전체 땅과 물의 20% 이상을 쓰고 천연자원의 30% 이상을 활용하며 에너지의 40% 이상을 소비한다고 지적된다. 그야말로 녹색성장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건설산업이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해야한다.
현장에서 저탄소 생산과정을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건설산업이 공정관리 방식을 혁신해야 하며, 유관산업과 협업해 친환경 기자재를 개발해야 한다. 건설생산물에 있어서는 전통적인 도로와 항만, 주택 등의 상품에 환경 가치를 추가하여 녹색건설시장을 개척해야 한다. 시설의 에너지 사용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도로 대신 철도 등 대체상품이 부각될 수 있다. 새로운 건설상품인 원자력, 태양광, 풍력, 지력, 조력 등을 포함한 신재생 에너지 시설의 공급 또한 건설산업이 담당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건설산업의 녹색화 요구에 부응하는 기술적인 진화도 이뤄져야 한다. 녹색 건설기술의 핵심은 각종 첨단 기술과 건설의 적절한 융합과 통합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정보화, 로봇화, 바이오, 나노 등의 기술은 이미 녹색건설의 핵심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최신기술의 과감한 도입과 융합은 건설산업이 첨단 산업으로 성장하는 발판이 될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산업의 국제 경쟁력도 높여줄 것이다.
녹색 건설시장은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성장이 가장 빠른 시장이 되고 있다. 2013년에 이르면 전 세계 주요 권역에서 신규로 발주되는 건축물의 30~ 60%는 녹색시설일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된다. 다른 예로 미국의 녹색 빌딩 시장은 매년 60%씩 성장하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국내 건설기업의 발 빠른 행보는 물론 정부의 효율적인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녹색성장은 건설과정에서의 추가적인 비용을 감내하더라도 사용기간 동안의 저비용과 지구 환경보호라는 사회적 가치를 도모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유인책이 마련돼야 한다. 정부는 정책과 제도를 통해 또 예산과 금융세제상의 혜택을 통해 녹색건설을 유도할 수 있다. 아직까지는 정책적 논의는 많으나 구체적으로 시설에 소요되는 추가 비용이나 기준에 대한 논의는 별로 없는 것 같다.
공공부문은 추가 예산이 소요되더라도 녹색 프로젝트의 발주를 늘려야 한다. 민간부문의 경우 보다 강력한 제도적 틀과 투자 유인책이 주어져야 할 것이다. 시간이 흘러 시설 관리비용의 저감을 통한 경제적 혜택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건강, 행복, 성취도도 향상되는 효과가 확인되면 자발적인 민간투자의 확대가 이뤄질 것이다.
친환경 건설시장은 산업의 차세대 신성장동력으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신재생에너지, 그린 건축물, 녹색 생활공간 등은 위기를 맞은 건설산업에 새로운 돌파구를 제공해줄 것이다. 따라서, 녹색성장에 있어서 건설산업이 적극적인 역할을 모색함으로써 국가 경제성장을 선도함은 물론 건설산업의 르네상스를 여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건설산업의 이미지가 개선될 수만 있다면 금상첨화가 아닐까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