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제1호 SOC 민자 유치사업
보도일자 2010-11-23
보도기관 건설경제
1969년 12월 우리나라에서 민간자본으로 건설한 최초의 고속도로인 울산~언양 노선이 개통됐다. 그러나 당시엔 민간자본을 유치하기 위한 법률 및 제도가 마련되지 않은 상태였으며, 개통 당시 울산선은 지방도였다.
1994년 민자유치촉진법 제정
우리나라에서 법률에 근거한 체계적 절차를 거쳐 민간자본을 유치한 첫 번째 SOC 시설사업은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건설사업이다. 인천국제공항과 서울을 잇는 인천국제공항선을 건설하기로 결정한 정부는 1990년 11월~1994년 2월 기본 및 실시설계를 완료했다. 1993년 12월엔 정부 재정으로 연륙교(영종대교) 제1공구 3.6㎞의 건설공사에 착수했으며, 나머지 36.6㎞는 1994년 6월에 착공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정부는 1994년 8월에 사회간접자본시설 확충에 대한 민간자본유치촉진법을 제정하면서 이 사업을 민자유치 시설사업으로 전환했다.
1995년 3월 6일, 정부 민자유치 대상사업 제1호인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건설공사를 포함한 민자유치시설사업 기본계획이 고시됐다. 같은 해 10월 삼성물산ㆍ한진ㆍ동아ㆍ코오롱ㆍ금호ㆍLGㆍ포스코ㆍ롯데ㆍ극동ㆍ풍림ㆍ두산 등 11개사 컨소시엄인 신공항고속도로주식회사를 사업시행자로 지정했다. 1995년 11월 29일 우리나라 제1호 SOC 민자유치사업,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건설공사가 착수됐다.
1구간은 국고, 나머지 6구간은 민자로
연륙교 3공구와 도로 4공구 등 모두 7개 공구로 분할해 시공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사진)는 총연장 40.2㎞(지선 3.7㎞ 포함, 6~8차로)로 2000년 11월 20일 개통됐다. 건설비는 1조7440억원이 소요됐다. 연륙교 1공구(3.6㎞)에는 국고가 투입됐고, 나머지 6개 구간엔 민간자본이 투입됐다. 1㎞당 평균건설비는 433억8308만원으로, 우리나라 고속도로 중 단일 노선 전체 1㎞당 건설비로는 가장 큰 규모다.
주요 시설물로는 영종대교 및 방화대교를 비롯한 장대교 21곳을 포함해 모두 46곳에 총연장 13.199㎞의 교량이 건설됐으며, 터널은 개화터널(상하행선 1.2645㎞) 하나만 건설됐다.
한편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는 2008년 11월의 노선지정령 개정에 따라 고속국도 제130호 인천국제공항선 36.55㎞로 운영되고 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CERIK) 연구위원
1994년 민자유치촉진법 제정
우리나라에서 법률에 근거한 체계적 절차를 거쳐 민간자본을 유치한 첫 번째 SOC 시설사업은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건설사업이다. 인천국제공항과 서울을 잇는 인천국제공항선을 건설하기로 결정한 정부는 1990년 11월~1994년 2월 기본 및 실시설계를 완료했다. 1993년 12월엔 정부 재정으로 연륙교(영종대교) 제1공구 3.6㎞의 건설공사에 착수했으며, 나머지 36.6㎞는 1994년 6월에 착공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정부는 1994년 8월에 사회간접자본시설 확충에 대한 민간자본유치촉진법을 제정하면서 이 사업을 민자유치 시설사업으로 전환했다.
1995년 3월 6일, 정부 민자유치 대상사업 제1호인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건설공사를 포함한 민자유치시설사업 기본계획이 고시됐다. 같은 해 10월 삼성물산ㆍ한진ㆍ동아ㆍ코오롱ㆍ금호ㆍLGㆍ포스코ㆍ롯데ㆍ극동ㆍ풍림ㆍ두산 등 11개사 컨소시엄인 신공항고속도로주식회사를 사업시행자로 지정했다. 1995년 11월 29일 우리나라 제1호 SOC 민자유치사업,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건설공사가 착수됐다.
1구간은 국고, 나머지 6구간은 민자로
연륙교 3공구와 도로 4공구 등 모두 7개 공구로 분할해 시공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사진)는 총연장 40.2㎞(지선 3.7㎞ 포함, 6~8차로)로 2000년 11월 20일 개통됐다. 건설비는 1조7440억원이 소요됐다. 연륙교 1공구(3.6㎞)에는 국고가 투입됐고, 나머지 6개 구간엔 민간자본이 투입됐다. 1㎞당 평균건설비는 433억8308만원으로, 우리나라 고속도로 중 단일 노선 전체 1㎞당 건설비로는 가장 큰 규모다.
주요 시설물로는 영종대교 및 방화대교를 비롯한 장대교 21곳을 포함해 모두 46곳에 총연장 13.199㎞의 교량이 건설됐으며, 터널은 개화터널(상하행선 1.2645㎞) 하나만 건설됐다.
한편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는 2008년 11월의 노선지정령 개정에 따라 고속국도 제130호 인천국제공항선 36.55㎞로 운영되고 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CERIK) 연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