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품질관리학과는 어떤가요?
보도일자 2011-03-30
보도기관 한국건설신문
최근 해외건설 수주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해외 현장을 담당할 실무인력이 부족하여 큰 애로를 겪고 있다고 한다.
다른 업종도 마찬가지나, 특히 건설업에서는 대학교에서 사회적 수요에 걸맞는 인력배출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례로 공사현장에서 요구되고 있는 적산/견적, 샵드로잉(shop drawing), 안전관리, 환경관리, 품질관리 등은 전문인력이 부족하여 비숙련자가 해당 업무를 담당하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백화점식 커리큘럼을 지양해야=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백화점식의 커리큘럼을 지양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건축·토목학과의 커리큘럼을 보면, 서울대로부터 지방의 조그만 전문대에 이르기까지 구성 과목이 거의 유사하다.
학생 수준과 관계없이 복합한 수학공식이 난무하는 구조공학도 동일하게 가르치며, 엔지니어링, 시공, 재료 등 수박겉핥기 식의 천편일률적인 교과목 배치가 일반적이다.
현행 ‘건설기술관리법’에서는 5억원 이상 토목공사와 660㎡이상의 건축공사는 품질시험계획을 수립하고, 품질시험을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품질시험에는 토질시험을 비롯하여 콘크리트, 골재, 아스팔트 등 시험 종류만도 수 백가지가 넘으며, 콘크리트 분야의 KS규격만 해도 100여종에 달한다. 그런데 대학에서 품질시험을 제대로 배운 전문인력은 거의 없다.
안전관리도 마찬가지이다. 현재 서울산업대 등 3개 대학에서 산업안전학과가 존재하고 있으나, 건설안전과 특화된 교육을 찾아보기 어렵다.
당연히 건설관련학과에서 건설현장의 특성을 고려한 안전관리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이 필요하나, 그러한 교육이 이루어지는 대학은 찾아보기 어렵다.
최근들어 적산·견적 업무도 매우 중시되는 경향에 있다.
공사 원가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고, 순수내역입찰과 물량내역수정입찰이 도입되면서 건설업계에서는 적산·견적 실무인력을 구하기에 혈안이 되어 있으나, 유능한 전문인력은 찾아보기 어렵다. 무엇보다 대학교에서 적산/견적을 전공하여 곧바로 실무에 투입될 실력을 갖춘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건축·토목관련 특성화된 교육 필요=결론적으로 현재의 건설·토목학과는 특성화를 추구할 필요성이 있다.
최근 일부 대학교의 건축·토목학과에서는 정원을 채우지 못하여 어려움을 겪는다고 한다.
이러한 대학에서는 천편일률적인 커리큘럼을 고집할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적산·견적분야를 전문으로하는 건설적산학과, 공정이나 코스트관리를 전문으로 하는 건설관리학과, 품질시험을 공부하는 건설품질학과나 건설안전학과, 건설환경학과처럼 전문 분야에 특화된 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학과로 재편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
◇공사관리 인력은 다학제로=기술인력의 전문화와 더불어 공사관리 분야에서는 다학제적(multi-disciplinary) 인력 양성에 노력해야 한다.
건설공사가 점차 대형화되고, 해외 공사가 늘어날수록 다양한 학문적 배경과 경험을 갖춘 공사관리 인력이 요구되며, 그러한 인력 양성을 위하여 사회적 노력이 결집되어야 한다.
◇현장에 부합되는 인력을 양성해야=대학 교육의 또 다른 문제는 실무 중심의 교육이 미흡하다는 점이다. 아직까지 ‘안목치수’도 모른 채 설계 과목을 가르치는 교수가 태반이며, 건설현장에서 먹줄 한 번 안그어 본 시공학 교수가 또한 태반이다.
건설기술이란 정보기술이나 메카트로닉스(mechatronics), 로봇공학(robotics) 등 주변 산업기술의 발전에 의존하는 사례가 많다. 따라서 순수 기술의 개발보다는 주변 기술의 조합이나 조립, 가공 등과 같은 응용 기술이 훨씬 중요한데, 이는 현장을 중시하지 않고서는 불가능한 것이다.
더구나 최근에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을 비롯하여 IT기술과 접목된 설계·시공기술의 발전이 눈부시며, 초고층빌딩, 초장대교량 등 구조기술의 발전도 현격하다. 즉, 이론이나 논문 중심의 대학 교과 과정을 개편하여 실무적인 기술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체제를 강화해야 한다.
대학을 졸업한 후에는 재교육이 또한 중요하다. 현재 제도적으로 건설기술자 보수 교육을 의무화하고 있지만, 건설기술자가 요구하고 있는 교육 기회를 충실히 제공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의문이 있다.
앞으로 국내에서도 단순한 보수교육 일변도의 프로그램을 지양하고, 특정 분야의 전문가가 되려는 기술자의 욕구를 파악하여 특성화된 기술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이 요구된다.
최민수 건설정책연구실장(한국건설산업연구원)
그러나 해외 현장을 담당할 실무인력이 부족하여 큰 애로를 겪고 있다고 한다.
다른 업종도 마찬가지나, 특히 건설업에서는 대학교에서 사회적 수요에 걸맞는 인력배출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례로 공사현장에서 요구되고 있는 적산/견적, 샵드로잉(shop drawing), 안전관리, 환경관리, 품질관리 등은 전문인력이 부족하여 비숙련자가 해당 업무를 담당하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백화점식 커리큘럼을 지양해야=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백화점식의 커리큘럼을 지양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건축·토목학과의 커리큘럼을 보면, 서울대로부터 지방의 조그만 전문대에 이르기까지 구성 과목이 거의 유사하다.
학생 수준과 관계없이 복합한 수학공식이 난무하는 구조공학도 동일하게 가르치며, 엔지니어링, 시공, 재료 등 수박겉핥기 식의 천편일률적인 교과목 배치가 일반적이다.
현행 ‘건설기술관리법’에서는 5억원 이상 토목공사와 660㎡이상의 건축공사는 품질시험계획을 수립하고, 품질시험을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품질시험에는 토질시험을 비롯하여 콘크리트, 골재, 아스팔트 등 시험 종류만도 수 백가지가 넘으며, 콘크리트 분야의 KS규격만 해도 100여종에 달한다. 그런데 대학에서 품질시험을 제대로 배운 전문인력은 거의 없다.
안전관리도 마찬가지이다. 현재 서울산업대 등 3개 대학에서 산업안전학과가 존재하고 있으나, 건설안전과 특화된 교육을 찾아보기 어렵다.
당연히 건설관련학과에서 건설현장의 특성을 고려한 안전관리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이 필요하나, 그러한 교육이 이루어지는 대학은 찾아보기 어렵다.
최근들어 적산·견적 업무도 매우 중시되는 경향에 있다.
공사 원가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고, 순수내역입찰과 물량내역수정입찰이 도입되면서 건설업계에서는 적산·견적 실무인력을 구하기에 혈안이 되어 있으나, 유능한 전문인력은 찾아보기 어렵다. 무엇보다 대학교에서 적산/견적을 전공하여 곧바로 실무에 투입될 실력을 갖춘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건축·토목관련 특성화된 교육 필요=결론적으로 현재의 건설·토목학과는 특성화를 추구할 필요성이 있다.
최근 일부 대학교의 건축·토목학과에서는 정원을 채우지 못하여 어려움을 겪는다고 한다.
이러한 대학에서는 천편일률적인 커리큘럼을 고집할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적산·견적분야를 전문으로하는 건설적산학과, 공정이나 코스트관리를 전문으로 하는 건설관리학과, 품질시험을 공부하는 건설품질학과나 건설안전학과, 건설환경학과처럼 전문 분야에 특화된 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학과로 재편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
◇공사관리 인력은 다학제로=기술인력의 전문화와 더불어 공사관리 분야에서는 다학제적(multi-disciplinary) 인력 양성에 노력해야 한다.
건설공사가 점차 대형화되고, 해외 공사가 늘어날수록 다양한 학문적 배경과 경험을 갖춘 공사관리 인력이 요구되며, 그러한 인력 양성을 위하여 사회적 노력이 결집되어야 한다.
◇현장에 부합되는 인력을 양성해야=대학 교육의 또 다른 문제는 실무 중심의 교육이 미흡하다는 점이다. 아직까지 ‘안목치수’도 모른 채 설계 과목을 가르치는 교수가 태반이며, 건설현장에서 먹줄 한 번 안그어 본 시공학 교수가 또한 태반이다.
건설기술이란 정보기술이나 메카트로닉스(mechatronics), 로봇공학(robotics) 등 주변 산업기술의 발전에 의존하는 사례가 많다. 따라서 순수 기술의 개발보다는 주변 기술의 조합이나 조립, 가공 등과 같은 응용 기술이 훨씬 중요한데, 이는 현장을 중시하지 않고서는 불가능한 것이다.
더구나 최근에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을 비롯하여 IT기술과 접목된 설계·시공기술의 발전이 눈부시며, 초고층빌딩, 초장대교량 등 구조기술의 발전도 현격하다. 즉, 이론이나 논문 중심의 대학 교과 과정을 개편하여 실무적인 기술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체제를 강화해야 한다.
대학을 졸업한 후에는 재교육이 또한 중요하다. 현재 제도적으로 건설기술자 보수 교육을 의무화하고 있지만, 건설기술자가 요구하고 있는 교육 기회를 충실히 제공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의문이 있다.
앞으로 국내에서도 단순한 보수교육 일변도의 프로그램을 지양하고, 특정 분야의 전문가가 되려는 기술자의 욕구를 파악하여 특성화된 기술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이 요구된다.
최민수 건설정책연구실장(한국건설산업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