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언론기고

체계적 계획수립 장기비전 개발

보도일자 2002-05-02

보도기관 건설뉴스

건설산업이 미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데 비해 국민의 삶과 복지에 기여하는 측면이 현재에 낮지만 미래에는 더욱 낮아질 전망이다.

더구나 IT기술의 발달은 전통적인 건설산업의 생존자체에 위협을 가하게 될 전망이며 건설산업의 토보는 국가와 국민들에게 상당한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위기감에서 클린턴 대통령은 지난 1993년 국가과학기술위원회(NSTC)을 설치했다.

NSTC 9개 위원회 중 하나인 민간사업기술위원회에서는 6대 과제(차세대 자동차, 전자산업, 재료산업, 생명공학 등)중 하나로 건설산업을 지목하고 있다.

미국의 건설산업은 체계적인 계획을 수립해 2025년 혹은 2050년까지의 장기비전을 개발하고 실천하기 시작했다.

건설산업에 대한 미래 목표를 제시하고 이 목표를 만족시키기 위해 범국가차원에서 부문(건축, 교통시설, 석유화학공장 등)별로 미래 비전을 설정하고 비전 달성을 위한 전략들을 세우고 있다.

미국 건설산업에서 수립한 목표와 부문별 비전이 가시화되기 시작했고 일부에서는 이미 성과를 거두고 있다.

미국의 이러한 배경에는 미국의 건설산업의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개선시켜 자국의 산업보호는 물론 미국이 지닌 잠재적 가치를 통해 해외건설시장에서 부가가치를 창출하겠다는 속셈이 깔려있다.

국가적인 단일 목표아래 범국가적인 단체나 기업 혹은 연구소들이 수립해 나가고 있는 비전과 전략의 내용을 우리나라에서 수립하거나 시행하고 있는 계획들과 비교해보면 현재보다는 미래 국내 건설산업의 경쟁력이 더욱 염려스럽게 되며 과거의 건설산업이 국가경제에 큰 힘이 되었던 것과는 반대로 오히려 국가경제에 상당한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위기감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국가건설산업에 닥칠 미래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지금부터라도 국가 건설산업의 미래 비전 제시와 목표 달성을 위한 중장기 대응책 마련이 필수적이다.

우리나라가 가진 인적 자원 요소는 건설산업을 국가의 전략 상품으로 만들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자원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함으로서 국가에 짐이 되는 것보다는 상품화 시킴으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경제적 부가가치가 무궁무진함을 일깨워 주고자 하는 것이다.

앞으로 국내 건설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해외 선진국가의 건설산업 사례를 통해 발전을 위한 관심 및 의지를 갖고 정보를 수집하고 보급 실천함으로써 후진적인 건설산업의 위기에서 벗어나 효율적이며 생산적인 경쟁력을 강화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이복남(선임연구위원·bnlee@cerik.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