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언론기고

<월요기획>긴급진단 해외건설-건설사 지원 ''허브센터'' 구축을

보도일자 2013-04-29

보도기관 건설경제

불황에 허덕이는 건설산업에서 유일하게 ‘기댈 곳’으로 불렸던 해외건설에도 위기의 그림자가 드리우고 있다. 최근 대형 건설사의 해외수주 손실이 어닝 쇼크로 드러나면서, 이대로 가다가는 해외수주액이 8분의1로 폭락한 1980년대의 실패가 재현될 것이라는 경계론도 나온다. 현 위기를 돌파하기 위한 적절한 방안은 뭘까. 최근 ‘해외건설 손실 리스크 저감대책 제안’보고서에서 이 문제를 다룬 이복남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을 만났다.

 △해외건설 손실을 악화시키는 원인은.

 이미 알다시피 임금상승ㆍ환율변동에 따른 가격 경쟁력 약화, 한국 건설사 간 과당경쟁에 따른 수익성 악화, 유가 안정에 따른 중동 발주조건 악화, 현지 발주처 및 하도급 업체와의 분쟁 등이 있을 수 있다. 결국 이 문제들이 예측가능한 리스크라고 봤을 때,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본다. 해외건설 수주고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면서 능력 부족의 문제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은.

 해외 현장이 증가하면서 발생가능한 리스크도 상당히 다양해졌다. 건설현장으로만 범위를 좁혀보자. 1000명 정도의 인력이 필요한 해외 현장에는 적어도 20개 이상의 국적을 가진 인력이 모인다. 여기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이 얼마나 많겠는가. 해외 현장의 특성을 감안해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발주처와의 계약에 포함시키는 게 필요하다.

 △계약을 진행하는 본사 차원의 대응이 필요하다는 뜻인가.

 그렇다. 해외 현장의 크고 작은 문제와 이에 따른 손실은 본사와 현장 사이에 적절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데서 출발한다. 하지만 한국 건설사의 문제는 본사의 경우 수주실적 확보에 주안점을 둔 나머지, 계약 세부사항 마련은 상대적으로 부실하다. 계약 세부사항이 부실하면 발주처와 현지 하도급과의 클레임과 분쟁이 발생할 소지가 다분해진다. 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본사 차원에서 계약 세부사항들을 총체적으로 컨트롤할 수 있는 전문인력이 필요하다. 즉, 건설현장이 계획과 차질 없이 흘러갈 수 있도록 하는 유능한 시나리오 작가가 필요하다는 의미다.

 △향후 정부의 지원정책 방향을 제안한다면.

 코트라(KOTRA), 해외건설협회, 국토부 등이 현지에서 한국 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사실은 익히 안다. 모든 지원군들을 중동, 아프리카, 유럽 등 지역별 혹은 국가별로 모은 일종의 ‘허브 센터(Hub Center)’를 구축하면 어떨까. 허브 센터는 현지 건설사 혹은 제조사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필요한 인력과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