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건설제도부터 Global Standard로 이행해야
보도일자 2003-03-24
보도기관 한국건설
해외건설 수주실적이 2000년에는 54억불, 2001년에는 44억불을 기록하다가, 작년에는 61억불로 증가했기 때문에 해외건설 활성화에 대한 부푼 기대감(?)을 갖고 적극적으로 해외시장에 진출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일부 언론이나 해외건설과 무관한 인사들의 시각이 아닌가 싶다. 그런데 정작 해외건설업체들은 소극적이다 못해 자신감을 상실한 듯한 인상을 보여주고 있다. 어떤 경영자는 “해외건설공사의 매출원가율이 너무 높다"는 표현을 쓴다. 이는 해외건설공사의 수익성이 낮거나 적자 폭이 크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해외시장에서의 파이낸싱 능력이나 엔지니어링능력 및 건설사업관리능력의 취약은 오래된 문제다. 최근에는 국내 건설공사의 공사비나 공기측면에서의 경쟁력이 싱가포르, 대만보다 더 낮다는 사실이 지적되고 있다.
이처럼 기술·가격(수익성)·공기 등 거의 모든 측면에서 국제경쟁력이 저하되어 있다면, 해외건설 활성화는 기대하기 어렵다.
사정이 이렇다는 것을 정부도 알고 있는 것 같다. 그동안에도 여러 차례 해외건설 활성화를 위한 지원대책을 발표했다. 보증·금융지원이나 건설외교 강화 등이 단골메뉴였다.
그런데 이같은 지원대책의 남발에도 불구하고 해외건설업체들은 여전히 소극적이다. 특히 토목·건축공사는 아예 수익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판단에서인지 수주 자체를 기피하는 듯하다.
그 결과 작년에는 토목·건축공사 수주실적이 전체 해외 수주실적의 18.6%에 불과한 11억불에 그쳤다.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다소 있다고 평가되는 산업설비(플랜트) 수주에 주력하다 보니, 작년에 산업설비공사 수주실적은 전체 해외건설 수주실적의 78.8%인 48억불을 기록했다.
이같은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인데, 그러다 보면 결국 토목·건축공사를 주축으로 하는 건설산업은 내수산업(內需産業)으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
건설산업이 내수산업화된다면 좁은 국내 건설시장에서 한정된 물량을 놓고 대·중·소기업간 수주경쟁이 치열하게 되고, 건설업계 내부의 갈등은 크게 증폭될 것이다. 아울러 2004년말까지 체결될 DDA협상의 결과에 따라 건설시장 개방 폭이 더 확대되면, 외국건설업체의 국내 시장진출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하지만 개방폭이 확대된 해외건설시장에 내수(內需) 위주인 국내 건설업체들의 진출 활성화는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내수산업으로 전락한 건설산업의 국내총생산(GDP) 및 경제성장 기여율도 떨어질 수밖에 없다. 우수인력의 유입도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해외건설 활성화는 중요한 국가적 과제라고 본다.
새 정부에서도 국가적인 지원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지금처럼 해외건설이 지지부진하게 된 원인은 금융·보증지원이나 건설외교가 취약해서라기보다는, 국내 건설산업의 총체적인 국제경쟁력 상실 때문이라는 사실을 먼저 인식해야 한다.
이같은 국제경쟁력 상실의 기본적인 원인은 Global Standard와 무관한 한국식 건설제도와 관행에 있다고 본다.
발주자의 주먹구구식 사업추진 행태, 기술경쟁과 가격경쟁을 배제시킨 입찰제도, 글로벌기업의 탄생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사회구조와 제도, 금융·보증제도의 후진성 등이 지금도 버젓하게 자리잡고 있다.
우리나라는 외국과 다르니까 ‘우리 것이 좋은 것이여''라는 말로 미화하기도 한다. 그러면 그럴수록 해외건설시장에서의 국제경쟁력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새 정부는 ‘경제의 기본틀을 Global Standard에 맞추어 나가겠다''고 선언했다. 구호삼아 외쳐 본 것이 아니라면, 국내 건설제도부터 먼저 Global Standard로 이행시켜 주었으면 한다. 그렇게 되어야 해외건설 활성화가 이루어질 것이다.
일부 언론이나 해외건설과 무관한 인사들의 시각이 아닌가 싶다. 그런데 정작 해외건설업체들은 소극적이다 못해 자신감을 상실한 듯한 인상을 보여주고 있다. 어떤 경영자는 “해외건설공사의 매출원가율이 너무 높다"는 표현을 쓴다. 이는 해외건설공사의 수익성이 낮거나 적자 폭이 크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해외시장에서의 파이낸싱 능력이나 엔지니어링능력 및 건설사업관리능력의 취약은 오래된 문제다. 최근에는 국내 건설공사의 공사비나 공기측면에서의 경쟁력이 싱가포르, 대만보다 더 낮다는 사실이 지적되고 있다.
이처럼 기술·가격(수익성)·공기 등 거의 모든 측면에서 국제경쟁력이 저하되어 있다면, 해외건설 활성화는 기대하기 어렵다.
사정이 이렇다는 것을 정부도 알고 있는 것 같다. 그동안에도 여러 차례 해외건설 활성화를 위한 지원대책을 발표했다. 보증·금융지원이나 건설외교 강화 등이 단골메뉴였다.
그런데 이같은 지원대책의 남발에도 불구하고 해외건설업체들은 여전히 소극적이다. 특히 토목·건축공사는 아예 수익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판단에서인지 수주 자체를 기피하는 듯하다.
그 결과 작년에는 토목·건축공사 수주실적이 전체 해외 수주실적의 18.6%에 불과한 11억불에 그쳤다.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다소 있다고 평가되는 산업설비(플랜트) 수주에 주력하다 보니, 작년에 산업설비공사 수주실적은 전체 해외건설 수주실적의 78.8%인 48억불을 기록했다.
이같은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인데, 그러다 보면 결국 토목·건축공사를 주축으로 하는 건설산업은 내수산업(內需産業)으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
건설산업이 내수산업화된다면 좁은 국내 건설시장에서 한정된 물량을 놓고 대·중·소기업간 수주경쟁이 치열하게 되고, 건설업계 내부의 갈등은 크게 증폭될 것이다. 아울러 2004년말까지 체결될 DDA협상의 결과에 따라 건설시장 개방 폭이 더 확대되면, 외국건설업체의 국내 시장진출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하지만 개방폭이 확대된 해외건설시장에 내수(內需) 위주인 국내 건설업체들의 진출 활성화는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내수산업으로 전락한 건설산업의 국내총생산(GDP) 및 경제성장 기여율도 떨어질 수밖에 없다. 우수인력의 유입도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해외건설 활성화는 중요한 국가적 과제라고 본다.
새 정부에서도 국가적인 지원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지금처럼 해외건설이 지지부진하게 된 원인은 금융·보증지원이나 건설외교가 취약해서라기보다는, 국내 건설산업의 총체적인 국제경쟁력 상실 때문이라는 사실을 먼저 인식해야 한다.
이같은 국제경쟁력 상실의 기본적인 원인은 Global Standard와 무관한 한국식 건설제도와 관행에 있다고 본다.
발주자의 주먹구구식 사업추진 행태, 기술경쟁과 가격경쟁을 배제시킨 입찰제도, 글로벌기업의 탄생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사회구조와 제도, 금융·보증제도의 후진성 등이 지금도 버젓하게 자리잡고 있다.
우리나라는 외국과 다르니까 ‘우리 것이 좋은 것이여''라는 말로 미화하기도 한다. 그러면 그럴수록 해외건설시장에서의 국제경쟁력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새 정부는 ‘경제의 기본틀을 Global Standard에 맞추어 나가겠다''고 선언했다. 구호삼아 외쳐 본 것이 아니라면, 국내 건설제도부터 먼저 Global Standard로 이행시켜 주었으면 한다. 그렇게 되어야 해외건설 활성화가 이루어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