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부진, 건설로 뚫자
보도일자 2004-06-21
보도기관 헤럴드경제
한국경제가 어려울 때마다 건설산업은 그 어려움을 극복하는 돌파구 역할을 수행했다.
1970년대의 오일쇼크로 인한 경제위기 상황이나 가장 최근의 국제통화기금(IMF) 관리체제에서도 건설 산업은 한국경제의 회복과 성장을 견인하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지금도 다르지 않다.
수출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은 가운데 내수 경기를 지탱하는 유일한 버팀목이 건설산업이다.
그런데 지난 1/4분기 건설산업의 내수 기여도는 작년의 절반도 안되는 0.6% 포인트에 불과하다.
작년 102조원에 달했던 건설수주액은 올해 는 89조원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주택을 비롯한 민간주거용 건 설수주 실적은 국내 경기침체와 주택.부동산 규제 강화로 작년보 다 30% 이상 줄어들 전망이다.
특히 지난 2/4분기 건설수주 실적 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37.8%나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건설경기 전망이 어둡다보니 1/4분기 건설업 등록 반납 건수는 823건에 달했다.
건설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 설사 민간소비나 설비투자가 되 살아나도 내수경기 회복을 기대할 수 없다.
부도업체 수가 급증 하게 되고 실업률도 높아지게 된다.
''일자리 창출''이 국가적 과 제로 등장한 지금 외환위기를 맞았던 98년 한 해에 건설수주액 이 40% 정도 급감하면서 건설 부문에서만 50여만명의 실업자가 발생했던 사실을 다시금 되새겨볼 필요가 있다.
내수부진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건설경기 활성화 대 책이 요구된다.
건설경기의 급격한 침체를 막기 위해서는 우선 최소 2조원 이상의 추경예산 편성이 필요하다.
예산 조기집행으 로 인해 올 3/4분기에 주요 사업비 대부분이 소진되고 연말에는 공공건설 투자가 급감할 것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최저가 낙찰제 보완도 시급한 과제다.
1000억원짜리 공사를 98년에는 806억원에 수주받았고 지난 1/4분기에는 478억원에 수주했다.
저가 낙찰 방지를 위한 실효성 있는 대책이 수립되지 않는 한 공공건설 투자를 아무리 확대하더라도 건설업계의 수익 성은 악화일로를 걷게 될 것이다.
어차피 정부 재정이 충분치 못한 이상 민자유치사업의 활성화 는 선택사항이 아니라 필수적인 과제다.
그런데 최근 민자유치제 도의 흐름을 보면 활성화의 필요성은 공감하면서도 수익성을 악 화시켜 실제로는 활성화하기 어렵게 만들고 있다.
아울러 약 25 조원에 달하는 16건의 민간제안사업도 빨리 추진해 건설경기 활 성화와 수도권의 물류ㆍ교통난 해소에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
민간 주택시장에서는 분양원가 공개와 같은 소모적 논쟁을 하 루빨리 종식시키고 반시장적 규제 대신 서민주거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택지 및 주택공급 확대에 주력했으면 한다.
지역경제 활 성화를 위해 지방 혁신도시나 기업도시 조성 및 도심 재개발사업 도 적극 지원할 필요가 있다.
아무튼 지금같은 내수부진 양상이 심화된다면 국내 경제는 일 본과 같은 장기 복합불황 국면에 접어들 우려가 크다.
지나치게 수출에만 의존하고 있는 불안정한 경제상황의 탈피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건설경기 활성화를 통한 내수 기반의 회복이 요구된다.
1970년대의 오일쇼크로 인한 경제위기 상황이나 가장 최근의 국제통화기금(IMF) 관리체제에서도 건설 산업은 한국경제의 회복과 성장을 견인하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지금도 다르지 않다.
수출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은 가운데 내수 경기를 지탱하는 유일한 버팀목이 건설산업이다.
그런데 지난 1/4분기 건설산업의 내수 기여도는 작년의 절반도 안되는 0.6% 포인트에 불과하다.
작년 102조원에 달했던 건설수주액은 올해 는 89조원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주택을 비롯한 민간주거용 건 설수주 실적은 국내 경기침체와 주택.부동산 규제 강화로 작년보 다 30% 이상 줄어들 전망이다.
특히 지난 2/4분기 건설수주 실적 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37.8%나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건설경기 전망이 어둡다보니 1/4분기 건설업 등록 반납 건수는 823건에 달했다.
건설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 설사 민간소비나 설비투자가 되 살아나도 내수경기 회복을 기대할 수 없다.
부도업체 수가 급증 하게 되고 실업률도 높아지게 된다.
''일자리 창출''이 국가적 과 제로 등장한 지금 외환위기를 맞았던 98년 한 해에 건설수주액 이 40% 정도 급감하면서 건설 부문에서만 50여만명의 실업자가 발생했던 사실을 다시금 되새겨볼 필요가 있다.
내수부진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건설경기 활성화 대 책이 요구된다.
건설경기의 급격한 침체를 막기 위해서는 우선 최소 2조원 이상의 추경예산 편성이 필요하다.
예산 조기집행으 로 인해 올 3/4분기에 주요 사업비 대부분이 소진되고 연말에는 공공건설 투자가 급감할 것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최저가 낙찰제 보완도 시급한 과제다.
1000억원짜리 공사를 98년에는 806억원에 수주받았고 지난 1/4분기에는 478억원에 수주했다.
저가 낙찰 방지를 위한 실효성 있는 대책이 수립되지 않는 한 공공건설 투자를 아무리 확대하더라도 건설업계의 수익 성은 악화일로를 걷게 될 것이다.
어차피 정부 재정이 충분치 못한 이상 민자유치사업의 활성화 는 선택사항이 아니라 필수적인 과제다.
그런데 최근 민자유치제 도의 흐름을 보면 활성화의 필요성은 공감하면서도 수익성을 악 화시켜 실제로는 활성화하기 어렵게 만들고 있다.
아울러 약 25 조원에 달하는 16건의 민간제안사업도 빨리 추진해 건설경기 활 성화와 수도권의 물류ㆍ교통난 해소에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
민간 주택시장에서는 분양원가 공개와 같은 소모적 논쟁을 하 루빨리 종식시키고 반시장적 규제 대신 서민주거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택지 및 주택공급 확대에 주력했으면 한다.
지역경제 활 성화를 위해 지방 혁신도시나 기업도시 조성 및 도심 재개발사업 도 적극 지원할 필요가 있다.
아무튼 지금같은 내수부진 양상이 심화된다면 국내 경제는 일 본과 같은 장기 복합불황 국면에 접어들 우려가 크다.
지나치게 수출에만 의존하고 있는 불안정한 경제상황의 탈피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건설경기 활성화를 통한 내수 기반의 회복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