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산업 부패 사슬 끊자
보도일자 2005-05-16
보도기관 머니투데이
지난 4월 29일, 건설업계의 대표들이 모여 건설분야 투명사회협약 서명식을 가졌다. 이는 지난 3월 시민단체, 재계, 정부와 정치권 등이 체결한 투명사회협약의 후속조치로 볼 수 있다. 한편으로는 OECD의 뇌물방지협약, 유엔의 반부패협약과 같은 부패극복과 투명사회 구현을 위한 범세계적인 노력에 동참하는 계기로도 보여진다.
사실 투명사회 실천이라는 차원에서 한국의 입장이 자랑스럽지는 못하다. 매년 국제투명성기구에서 발표하는 한국의 부패인식지수는 100여개국 가운데 중위권에 맴돌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의 경제 규모에 비춰볼 때 부끄러운 일이라 아니할 수 없다. 물론 건설산업도 예외는 아니다. 오히려 사회적인 인식은 다른 산업에 비해 더욱 떨어진다고 할 수 있겠다. 부패방지위원회 또는 여러 시민단체의 조사에 따르면 건설산업이 우리 사회의 부정부패에서 가장 큰 줄기를 이루고 있으며 부정부패를 척결하려면 건설부문의 개혁이 최우선 과제라는 게 확인됐다.
이제 그 개혁의 첫 걸음을 내디뎠다. 건설인들이 과거의 잘못된 부패관행을 떨쳐버리고 투명하고 깨끗한 환경을 조성해 나가기로 결의한 것이다. 이것이 이벤트성 행사에 그쳐서는 안될 것이다.
협약의 이행, 평가, 점검, 확산 등 협약내용이 구체적으로 실천될 수 있도록 모든 건설 종사자가 힘을 합쳐야 한다. 정부도 부패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불합리한 제도를 개선하는 등 건설업계의 노력에 아낌없는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지난 40여년간 건설산업의 경제성장 기여도나 국민경제에서의 역할을 반추해 볼 때 업계에 쏟아지는 질타에 당혹스럽거나 억울한 측면도 있을 것이다. 주요 고속도로와 항만, 산업단지 등이 건설업계를 통하여 공급됐고 모두가 마다하는 열사의 나라에서 모진 고생을 하며 외화를 벌여 들였다.
그야말로 오늘날까지의 고도성장의 첨병역할을 하여 왔던 것이다. 지금도 GDP의 20%에 육박하는 건설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200만에 가까운 인력이 건설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중차지대한 산업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부당한 대우를 항변만 하고 있기에는 상황이 너무나 긴박하다. 건설산업이 중요한 만큼 깨끗한 산업으로 거듭나는 것이 더욱 절실한 것이다. 건설산업의 공과에 정당한 평가를 받기 위한 노력도 해야겠지만 동시에 국민으로부터 존경받을 수 있는 건설문화 창출에 힘써야 한다.
이를 추구함이 선진 건설산업 도약의 발판이며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요즘 세상에서 멈춤은 도태를 의미한다고 보았을 때 청렴성의 확보는 생존의 조건일 수 있는 것이다.
최근 재건축 관련 각종 조치로 건설업계가 많이 위축돼 있다. 만약 이번에도 소나기는 피해간다는 자세로 임한다면 다시 한번 국민의 신뢰를 저버리는 격이 될 것이다.
마치 정치권이 홍역을 치루고 나서 정치자금법 등 제도화의 길을 걸었듯이, 건설산업도 차제에 제도의 혁신, 관행의 선진화, 의식의 개혁을 통한 근본적인 해법을 찾아가야 한다.
투명성, 청렴성이야말로 한 사회의 가장 커다란 사회적 자산이며, 경쟁력이다. 이것이 달성돼야 건설산업의 발전이 있고 우리 경제가 한 차원 높은 도약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건설인 모두가 건설분야 투명사회협약에 적극 동참하고 협약 내용이 지켜질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고 감시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건설산업에 있어서 부패는 반드시 척결돼야 한다.
사실 투명사회 실천이라는 차원에서 한국의 입장이 자랑스럽지는 못하다. 매년 국제투명성기구에서 발표하는 한국의 부패인식지수는 100여개국 가운데 중위권에 맴돌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의 경제 규모에 비춰볼 때 부끄러운 일이라 아니할 수 없다. 물론 건설산업도 예외는 아니다. 오히려 사회적인 인식은 다른 산업에 비해 더욱 떨어진다고 할 수 있겠다. 부패방지위원회 또는 여러 시민단체의 조사에 따르면 건설산업이 우리 사회의 부정부패에서 가장 큰 줄기를 이루고 있으며 부정부패를 척결하려면 건설부문의 개혁이 최우선 과제라는 게 확인됐다.
이제 그 개혁의 첫 걸음을 내디뎠다. 건설인들이 과거의 잘못된 부패관행을 떨쳐버리고 투명하고 깨끗한 환경을 조성해 나가기로 결의한 것이다. 이것이 이벤트성 행사에 그쳐서는 안될 것이다.
협약의 이행, 평가, 점검, 확산 등 협약내용이 구체적으로 실천될 수 있도록 모든 건설 종사자가 힘을 합쳐야 한다. 정부도 부패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불합리한 제도를 개선하는 등 건설업계의 노력에 아낌없는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지난 40여년간 건설산업의 경제성장 기여도나 국민경제에서의 역할을 반추해 볼 때 업계에 쏟아지는 질타에 당혹스럽거나 억울한 측면도 있을 것이다. 주요 고속도로와 항만, 산업단지 등이 건설업계를 통하여 공급됐고 모두가 마다하는 열사의 나라에서 모진 고생을 하며 외화를 벌여 들였다.
그야말로 오늘날까지의 고도성장의 첨병역할을 하여 왔던 것이다. 지금도 GDP의 20%에 육박하는 건설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200만에 가까운 인력이 건설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중차지대한 산업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부당한 대우를 항변만 하고 있기에는 상황이 너무나 긴박하다. 건설산업이 중요한 만큼 깨끗한 산업으로 거듭나는 것이 더욱 절실한 것이다. 건설산업의 공과에 정당한 평가를 받기 위한 노력도 해야겠지만 동시에 국민으로부터 존경받을 수 있는 건설문화 창출에 힘써야 한다.
이를 추구함이 선진 건설산업 도약의 발판이며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요즘 세상에서 멈춤은 도태를 의미한다고 보았을 때 청렴성의 확보는 생존의 조건일 수 있는 것이다.
최근 재건축 관련 각종 조치로 건설업계가 많이 위축돼 있다. 만약 이번에도 소나기는 피해간다는 자세로 임한다면 다시 한번 국민의 신뢰를 저버리는 격이 될 것이다.
마치 정치권이 홍역을 치루고 나서 정치자금법 등 제도화의 길을 걸었듯이, 건설산업도 차제에 제도의 혁신, 관행의 선진화, 의식의 개혁을 통한 근본적인 해법을 찾아가야 한다.
투명성, 청렴성이야말로 한 사회의 가장 커다란 사회적 자산이며, 경쟁력이다. 이것이 달성돼야 건설산업의 발전이 있고 우리 경제가 한 차원 높은 도약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건설인 모두가 건설분야 투명사회협약에 적극 동참하고 협약 내용이 지켜질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고 감시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건설산업에 있어서 부패는 반드시 척결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