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하반기 매매.전세 동반 하락, 경기 국면 전환... 국내 건설수주 전년비 14.7% 감소한 136.8조원, 4년 내 최저
작성일 2018-06-27
작성자 이홍일, 허윤경
2018년 하반기 매매.전세 동반 하락, 경기 국면 전환
국내 건설수주 전년비 14.7% 감소한 136.8조원, 4년 내 최저
-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18년 하반기 건설∙주택 경기 전망』보고서에서 분석 발표
- 하반기 전국 매매가격 : 금리 인상, 준공 증가로 0.5% 하락, 연간 0.1% 하락으로 6년만의 하락세 전환
․ 하반기 수도권 매매가격 : 하반기 하락세 전환되어 0.2% 하락
․ 하반기 지방 매매가격 : 상반기 대비 하락폭 확대되어 0.8% 하락
- 하반기 전국 전세가격 : 입주물량 증가로 1.3% 하락, 연간으로는 2.2% 하락. 14년만의 최대치
- 2018년 국내 건설수주 : 14.7% 감소, 4년 내 최저치인 136.8조원 전망(3년 호황 종료)
- 2018년 건설투자 : 하반기 1.3% 감소로 돌아서, 전년 대비 0.2% 감소 전망
- 하반기 건설투자 감소로 취업자 수 2.4만명 감소, 하반기 GDP 증가율 0.21%p 하락 추정
□ 한국건설산업연구원(원장 이상호)은 6월 27일(수) 『2018년 하반기 건설∙주택 경기 전망』을 발표했다.
□ 한국건설산업연구원(원장 이상호)은 2018년 하반기 주택경기 전망 보고서를 발표하고 “2018년 하반기 동안 전국 매매가격 0.5% 하락, 전세가격도 1.3%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 허윤경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임차인 우위 시장인 현 상황에서 내년까지 준공이 계속되는 점”을 지적하고, “준공 이전에 전세 매물이 시장에 나와 선행적으로 전세가격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전세가격은 14년만의 최대 낙폭을 나타낼 것”이라고 주장했다.
국내 건설수주 전년비 14.7% 감소한 136.8조원, 4년 내 최저
-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18년 하반기 건설∙주택 경기 전망』보고서에서 분석 발표
- 하반기 전국 매매가격 : 금리 인상, 준공 증가로 0.5% 하락, 연간 0.1% 하락으로 6년만의 하락세 전환
․ 하반기 수도권 매매가격 : 하반기 하락세 전환되어 0.2% 하락
․ 하반기 지방 매매가격 : 상반기 대비 하락폭 확대되어 0.8% 하락
- 하반기 전국 전세가격 : 입주물량 증가로 1.3% 하락, 연간으로는 2.2% 하락. 14년만의 최대치
- 2018년 국내 건설수주 : 14.7% 감소, 4년 내 최저치인 136.8조원 전망(3년 호황 종료)
- 2018년 건설투자 : 하반기 1.3% 감소로 돌아서, 전년 대비 0.2% 감소 전망
- 하반기 건설투자 감소로 취업자 수 2.4만명 감소, 하반기 GDP 증가율 0.21%p 하락 추정
□ 한국건설산업연구원(원장 이상호)은 6월 27일(수) 『2018년 하반기 건설∙주택 경기 전망』을 발표했다.
□ 한국건설산업연구원(원장 이상호)은 2018년 하반기 주택경기 전망 보고서를 발표하고 “2018년 하반기 동안 전국 매매가격 0.5% 하락, 전세가격도 1.3%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 허윤경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임차인 우위 시장인 현 상황에서 내년까지 준공이 계속되는 점”을 지적하고, “준공 이전에 전세 매물이 시장에 나와 선행적으로 전세가격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전세가격은 14년만의 최대 낙폭을 나타낼 것”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