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지역건설산업 통계 발간
작성일 2022-11-16
작성자 CERIK
한국건설산업연구원(원장 이충재)은 14일 전국 지역건설산업의 투자 및 수주 규모 등 각종 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2022 지역건설산업 통계」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 「2022 지역건설산업 통계」는 개별 통계작성기관에서 작성·제공하고 있는 가장 최신의 각종 통계 등을 종합 및 재가공해 지역별로 현황 통계를 정리한 통계보고서로, 지역건설산업 정책입안자 및 관련 종사자가 손쉽게 활용할 수 있게 구성된 게 특징이다.
□ 지역건설산업은 생산 유발, 부가가치 유발 모두 지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전․후방 연계산업뿐만 아니라 고용 창출 효과 또한 높기에 지역경제 활력 제고를 위한 핵심 기반(보편) 산업으로 평가된다.
- 이에 중앙정부를 위시한 지방자치단체와 관련 협·단체, 연구기관 등에서는 최근 적극적인 지역건설산업 활성화 정책을 마련하고 있는 상황으로 이를 위해선 지역별 실태 파악을 위한 정확한 통계확보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 전영준 연구위원은 “지역 정책 수립에 지역건설산업의 투자 및 수주 규모 등 각종 현황 정보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하나 그간 전국 단위로 작성된 통계의 한계로 당해 지역별 지역건설산업의 각종 실태 파악에는 어려움이 있었다”며 “해당 보고서는 전국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를 기준으로 지역건설산업을 둘러싼 각종 현황 정보 중 관련 정책 마련 시 필요한 핵심적 통계를 중심으로 구성했다”고 설명했다.
□ 본 보고서는 지역건설기업의 역내 발주공사에 대한 의존도 현황을 지역별로 제시했는데 금액 기준 최근 5년 평균 서울 80.5%에서부터 세종 21.9%까지 큰 격차가 발생함을 도출하였다.
- 「2022 지역건설산업 통계」는 개별 통계작성기관에서 작성·제공하고 있는 가장 최신의 각종 통계 등을 종합 및 재가공해 지역별로 현황 통계를 정리한 통계보고서로, 지역건설산업 정책입안자 및 관련 종사자가 손쉽게 활용할 수 있게 구성된 게 특징이다.
□ 지역건설산업은 생산 유발, 부가가치 유발 모두 지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전․후방 연계산업뿐만 아니라 고용 창출 효과 또한 높기에 지역경제 활력 제고를 위한 핵심 기반(보편) 산업으로 평가된다.
- 이에 중앙정부를 위시한 지방자치단체와 관련 협·단체, 연구기관 등에서는 최근 적극적인 지역건설산업 활성화 정책을 마련하고 있는 상황으로 이를 위해선 지역별 실태 파악을 위한 정확한 통계확보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 전영준 연구위원은 “지역 정책 수립에 지역건설산업의 투자 및 수주 규모 등 각종 현황 정보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하나 그간 전국 단위로 작성된 통계의 한계로 당해 지역별 지역건설산업의 각종 실태 파악에는 어려움이 있었다”며 “해당 보고서는 전국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를 기준으로 지역건설산업을 둘러싼 각종 현황 정보 중 관련 정책 마련 시 필요한 핵심적 통계를 중심으로 구성했다”고 설명했다.
□ 본 보고서는 지역건설기업의 역내 발주공사에 대한 의존도 현황을 지역별로 제시했는데 금액 기준 최근 5년 평균 서울 80.5%에서부터 세종 21.9%까지 큰 격차가 발생함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