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사태가 국내 건설산업에 미칠 파급효과 분석(CERIK 하이라이트 2022 1호)
출판일 2022-03-16
연구원 CERIK
◎ 지난 2월 24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시작된 전쟁이 최근까지 지속되고 있음.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러시아 경제 제재의 영향으로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확대된 상황임.
● 전쟁 직후 러시아 주식시장 및 관련 금융 지수들은 폭락하였으며, 3월부터 러시아 신용평가 등급은 최하위로 하락함.
● 2월 28일, 3월 2일 러시아 은행이 SWIFT Society for Worldwide Interbank Financial Telecommunication으로 국제은행간통신협회. 전 세계 200여개국 1만 1,000개 은행을 연결하는 국제 통신망으로 금융회사가 회원사 간 자금 이동 및 결제업무를 위해 만든 폐쇄형 지급결제망임. 결제망에서 차단되면서 경제 제재가 본격화되었음.
● 러시아 자금 결제가 어렵게 되자 대(對)러 기업들은 철수 및 생산을 중지할 수밖에 없게 되었으며 3월 9일 미국이 러시아산 원유, 천연가스, 석탄 수입 금지 등 추가 대러시아 제재가 담긴 법안을 통과함으로써 대러시아 수입이 어렵게 됨.
◎ 러시아 경제 제재로 인하여 글로벌 원자재 공급망은 타격을 입었으며, 원유와 유연탄 가격이 일주일 만에 20~80% 급등하였음.
● 1~2월 80~90달러 수준을 기록하였던 배럴당 국제 유가는 3월 초 한때 120달러 이상을 기록하였음.
● 러시아산 유연탄 수급 불안으로 유연탄 가격은 톤당 120달러 수준에서 250달러 수준으로 급등하였음.
◎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이 건설산업에 미칠 영향에 대해 분석하기 전에 최근 건설경기를 이해할 필요가 있음.
● 2021년 건설수주는 212.0조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함. 건설기성도 경상 금액 기준 141.0조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면서 전년보다 회복되는 추이를 보였음.
● 다만, 지난해 하반기부터 건설 물가가 급등하면서 불변가격 기준으로 건설기성은 113.2조원을 기록하며 전년보다 하락한 모습을 보임.
◎ 건설수주는 양호하지만, 동행지표인 건설기성은 수주에 비해서 상승 속도가 더딘 상황임.
● 이유는 첫째, 건설 자재 가격 상승 속도가 매우 가파르기 때문임.
● 둘째, 전반적으로 불확실성이 커져 수주한 물량이 예년과 같이 활발하게 공사 착공으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임.
● 전쟁 직후 러시아 주식시장 및 관련 금융 지수들은 폭락하였으며, 3월부터 러시아 신용평가 등급은 최하위로 하락함.
● 2월 28일, 3월 2일 러시아 은행이 SWIFT Society for Worldwide Interbank Financial Telecommunication으로 국제은행간통신협회. 전 세계 200여개국 1만 1,000개 은행을 연결하는 국제 통신망으로 금융회사가 회원사 간 자금 이동 및 결제업무를 위해 만든 폐쇄형 지급결제망임. 결제망에서 차단되면서 경제 제재가 본격화되었음.
● 러시아 자금 결제가 어렵게 되자 대(對)러 기업들은 철수 및 생산을 중지할 수밖에 없게 되었으며 3월 9일 미국이 러시아산 원유, 천연가스, 석탄 수입 금지 등 추가 대러시아 제재가 담긴 법안을 통과함으로써 대러시아 수입이 어렵게 됨.
◎ 러시아 경제 제재로 인하여 글로벌 원자재 공급망은 타격을 입었으며, 원유와 유연탄 가격이 일주일 만에 20~80% 급등하였음.
● 1~2월 80~90달러 수준을 기록하였던 배럴당 국제 유가는 3월 초 한때 120달러 이상을 기록하였음.
● 러시아산 유연탄 수급 불안으로 유연탄 가격은 톤당 120달러 수준에서 250달러 수준으로 급등하였음.
◎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이 건설산업에 미칠 영향에 대해 분석하기 전에 최근 건설경기를 이해할 필요가 있음.
● 2021년 건설수주는 212.0조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함. 건설기성도 경상 금액 기준 141.0조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면서 전년보다 회복되는 추이를 보였음.
● 다만, 지난해 하반기부터 건설 물가가 급등하면서 불변가격 기준으로 건설기성은 113.2조원을 기록하며 전년보다 하락한 모습을 보임.
◎ 건설수주는 양호하지만, 동행지표인 건설기성은 수주에 비해서 상승 속도가 더딘 상황임.
● 이유는 첫째, 건설 자재 가격 상승 속도가 매우 가파르기 때문임.
● 둘째, 전반적으로 불확실성이 커져 수주한 물량이 예년과 같이 활발하게 공사 착공으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