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월간건설시장동향
출판일 2023-09-13
연구원 CERIK
◎ (건설수주) 2023년 7월 국내 건설수주는 10.0조 원(전년 동월 대비 –44.9%)
● 공공수주는 전년 동월 대비 0.9% 감소
● 민간 부문은 모든 공종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여 55.7% 감소
● 결국, 공공과 민간의 부진으로 6개월 연속 감소세 지속
◎ (건설기성) 2023년 7월 건설기성액은 13.8조 원(전년 동월 대비 +12.8%)
● 일반적으로 7월 건설기성액은 하절기 장마 및 태풍 등 계절적 영향으로 전월 대비 감소(전월 대비 –16.4%)
● 다만, 최근 3년(2019∼2021년) 7월 평균치 금액을 비교하면 기성액 자체는 높은 수준으로 전년 동월 대비 수준과 비교한 결과, 공공(-3.3%)이 부진했지만, 민간(+15.8%)이 양호
● 공종별로는 토목(+1.2%)과 건축(+16.0%) 모두 전년 동월 대비 증가
◎ (각종 건설물가) 전반적으로 건설물가 상승세가 2% 수준으로 둔화, 단 시멘트와 고로슬래그, 레미콘 등 비금속 자재 품목의 증가세는 여전히 높은 상황
● 시멘트와 레미콘 등 중요 자재가격이 전년 동월 대비 10~18%대의 높은 상승세 기록
● 건설용 원재료의 가격 상승세는 3% 중반대로 여전히 높은데, 이는 시멘트와 레미콘 등 국내에서 공급되는 비금속 원자재 가격 상승 때문.
● 다만 수입산 중간재는 마이너스(-)로 돌아섰는데 이는 철근 등 금속자재 가격 하락에 기인하며 이로 인하여 건설물가 상승세가 2%로 안정화된 것으로 분석
◎ (건설고용) 2023년 7월 건설업 취업자 수는 210만 명(전년 동월 대비 –2.0%, 전월 대비 -1.3%)
◎ (국내 건설시장 상황 진단) 7월 전반적으로 수주 침체 상황이 지속된 가운데, 기성은 양호한 흐름 이어간 것으로 분석
● 7월 건설수주는 공공과 민간이 모두 부진하였으며 특히 민간수주가 모든 공종에서 전년 동월 대비 50% 이상 감소하는 등 민간의 침체가 극심
● 한편, 7월(+12.8%) 건설기성의 경우 건축공사(+16.0%)뿐만 아니라 토목공사(+1.2%)도 일부 양호했던 것으로 나타났지만, 예년 수준의 공사액은 기록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
● 결국 국내 건설시장은 신규 공사는 위축이 지속되고 있지만, 완공을 앞둔 건축공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
● 공공수주는 전년 동월 대비 0.9% 감소
● 민간 부문은 모든 공종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여 55.7% 감소
● 결국, 공공과 민간의 부진으로 6개월 연속 감소세 지속
◎ (건설기성) 2023년 7월 건설기성액은 13.8조 원(전년 동월 대비 +12.8%)
● 일반적으로 7월 건설기성액은 하절기 장마 및 태풍 등 계절적 영향으로 전월 대비 감소(전월 대비 –16.4%)
● 다만, 최근 3년(2019∼2021년) 7월 평균치 금액을 비교하면 기성액 자체는 높은 수준으로 전년 동월 대비 수준과 비교한 결과, 공공(-3.3%)이 부진했지만, 민간(+15.8%)이 양호
● 공종별로는 토목(+1.2%)과 건축(+16.0%) 모두 전년 동월 대비 증가
◎ (각종 건설물가) 전반적으로 건설물가 상승세가 2% 수준으로 둔화, 단 시멘트와 고로슬래그, 레미콘 등 비금속 자재 품목의 증가세는 여전히 높은 상황
● 시멘트와 레미콘 등 중요 자재가격이 전년 동월 대비 10~18%대의 높은 상승세 기록
● 건설용 원재료의 가격 상승세는 3% 중반대로 여전히 높은데, 이는 시멘트와 레미콘 등 국내에서 공급되는 비금속 원자재 가격 상승 때문.
● 다만 수입산 중간재는 마이너스(-)로 돌아섰는데 이는 철근 등 금속자재 가격 하락에 기인하며 이로 인하여 건설물가 상승세가 2%로 안정화된 것으로 분석
◎ (건설고용) 2023년 7월 건설업 취업자 수는 210만 명(전년 동월 대비 –2.0%, 전월 대비 -1.3%)
◎ (국내 건설시장 상황 진단) 7월 전반적으로 수주 침체 상황이 지속된 가운데, 기성은 양호한 흐름 이어간 것으로 분석
● 7월 건설수주는 공공과 민간이 모두 부진하였으며 특히 민간수주가 모든 공종에서 전년 동월 대비 50% 이상 감소하는 등 민간의 침체가 극심
● 한편, 7월(+12.8%) 건설기성의 경우 건축공사(+16.0%)뿐만 아니라 토목공사(+1.2%)도 일부 양호했던 것으로 나타났지만, 예년 수준의 공사액은 기록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
● 결국 국내 건설시장은 신규 공사는 위축이 지속되고 있지만, 완공을 앞둔 건축공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