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월간 부동산 시장 동향
출판일 2023-12-29
연구원 CERIK
◎ (종합) 11월 수도권 아파트 가격이 0.03% 하락하며 9월과 10월 나타난 상승세를 이어가지 못함. 다수의 지역에서 하락세가 확인됨. 지표는 11월 주택가격전망 소비자심리지수가 지난달에 비해 6p 하락한 102p로 집계돼 가격 상·하방 전망 균형점인 100p에 근접함.
◎ (매매) 수도권 아파트 가격 0.03% 하락해 지난 9월과 10월 나타났던 상승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세 달 만에 재차 하락세 기록
● 서울이 MoM 0.00%의 보합세를 기록한 가운데 인천 지역 아파트 가격이 소폭 상승(0.05%)했지만 경기도 아파트 가격 하락(0.06%)으로 전체적으로는 0.03% 하락세 기록
● 지방은 월간 가격 하락폭을 줄이고 있으나 여전히 0.10% 하락… 지방광역시의 하락폭(0.15%)이 8개도(0.01%)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나
◎ (거래) 주택 매매거래량은 수도권에서 1.8만 호, 지방에서 2.7만 호를 기록해 전국적으로 4.5만 호를 기록
● 수도권에서는 인천 지역의 매매거래량이 전월에 비해 13.3% 감소하면서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며 지방 광역시 중에서는 울산이 10.6% 감소해 최대 감소폭을 보임.
● 9월에는 지역 중 유일하게 8개도 거래량이 증가하는 모습을 나타냈지만 10월에는 수도권, 지방광역시, 8개도를 가리지 않고 감소세
●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논의됐던 ‘메가시티’ 논의가 진행되면서 해당 지역에서 거래량이 증가하고 가격의 소폭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두 달 이상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였음.
◎ (임대차) 11월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 상승은 전월에 비해 다소 둔화됐지만 통합월세가격의 상승폭은 소폭 커진 것으로 집계돼
● 전국 아파트 월세 통합가격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상승폭이 커짐
◎ (공급) 9.26. 공급 대책에서 조기 인허가 인센티브 도입 등 인허가 수요가 다소 증가할 것으로 기대했지만 10월 인허가 수요 증가는 뚜렷하지 않아
● 아파트의 인허가는 8월에 극히 적고 9월에 다소 증가했지만 10월에 재차 감소해 7월 인허가 물량 수준에서 유지 중
● 11월 분양은 2.1만 호 수준이며 12월에도 3.1만 호 수준의 분양이 예정되어 있음.
◎ (매매) 수도권 아파트 가격 0.03% 하락해 지난 9월과 10월 나타났던 상승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세 달 만에 재차 하락세 기록
● 서울이 MoM 0.00%의 보합세를 기록한 가운데 인천 지역 아파트 가격이 소폭 상승(0.05%)했지만 경기도 아파트 가격 하락(0.06%)으로 전체적으로는 0.03% 하락세 기록
● 지방은 월간 가격 하락폭을 줄이고 있으나 여전히 0.10% 하락… 지방광역시의 하락폭(0.15%)이 8개도(0.01%)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나
◎ (거래) 주택 매매거래량은 수도권에서 1.8만 호, 지방에서 2.7만 호를 기록해 전국적으로 4.5만 호를 기록
● 수도권에서는 인천 지역의 매매거래량이 전월에 비해 13.3% 감소하면서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며 지방 광역시 중에서는 울산이 10.6% 감소해 최대 감소폭을 보임.
● 9월에는 지역 중 유일하게 8개도 거래량이 증가하는 모습을 나타냈지만 10월에는 수도권, 지방광역시, 8개도를 가리지 않고 감소세
●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논의됐던 ‘메가시티’ 논의가 진행되면서 해당 지역에서 거래량이 증가하고 가격의 소폭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두 달 이상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였음.
◎ (임대차) 11월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 상승은 전월에 비해 다소 둔화됐지만 통합월세가격의 상승폭은 소폭 커진 것으로 집계돼
● 전국 아파트 월세 통합가격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상승폭이 커짐
◎ (공급) 9.26. 공급 대책에서 조기 인허가 인센티브 도입 등 인허가 수요가 다소 증가할 것으로 기대했지만 10월 인허가 수요 증가는 뚜렷하지 않아
● 아파트의 인허가는 8월에 극히 적고 9월에 다소 증가했지만 10월에 재차 감소해 7월 인허가 물량 수준에서 유지 중
● 11월 분양은 2.1만 호 수준이며 12월에도 3.1만 호 수준의 분양이 예정되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