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CERIK 시장전망

2002년 1/4분기 건설 부동산 경기전망

출판일 2002-03-07

연구원 신기덕,최윤기외3인

2002년 부동산 시장은 실물경기 회복, 저금리 기조가 유지되면서 수요자들의 매수기반이 견고해 지는 가운데 전반적인 호황국면이 예상되며, 특히 주택의 경우 수급불균형으로 상반기에 높은 가격상승이 예상됨.

○ 토지가격은 그린벨트 해제의 본격화, 수도권의 택지개발에 따른 개발주변지역의 가격상승
    기대심리 확대와, 경기회복의 가시화로 연간 2-3% 정도 상승할 것으로 전망됨.

○ 토지거래는 도시계획구역 내 다가구 등의 주택용지에 대한 거래활성화가 예상되며, 시장 재
    건축활성화대책, 실물경기 회복에 따른 상업용 건물의 수요 등에 따라 준주거 지역 및 상업
    지역에서의 토지거래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주택시장의 경우 작년 12월 이후 비정상적인 가격 폭등현상이 지속되는 가운데 가격폭등에
    따른 불안심리 가중, 짝수해의 도래, 봄철 이사시기 등과 맞물려 상반기에 높은 가격상승이
    예상됨.

○ 아파트 매매가격은 이미 2월까지 서울지역은 9%까지 폭등하였음. 향후 금리인상의 가능성,
    청약제도 보완등의 추가적인 주택가격안정대책이 예상되고 년말 이후 공급물량의 증대 등
    의 영향으로 하반기에는 정체 내지 소폭의 하락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큼.

■ 2001년 1-2월의 아파트 가격 폭등의 원인: 여전히 재건축과 소형 아파트가 주도

○ 작년 12월 이후 아파트 매매가격이 비정상으로 폭등하고 있으며 2월말 현재 전년말 대비 서
    울 9%, 신도시 8.7%, 전국 7.2%의 높은 가격상승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전세가격 상승
    률보다 평균 3%p 높은 수준임

○ 지난 1월에 비해 다소 상승폭이 줄어들었으나 2월에도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월 3%대의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였음.

- 2월의 가격상승세는 본격적인 이사철에 접어들면서 나타나는 계절적인 영향에다가 12월 이
   후 지속되는 가격폭등에 불안을 느껴 주택매입에 대한 수요가 계속 늘어나고 있기 때문임.

- 1·2월의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은 역시 재건축 대상 아파트와 소형아파트에 의해 주도되고 있
   으며 지역적으로는 서울의 강남지역의 상승세가 두드러짐.

- 일반적으로 5개 저밀도 재건축 단지의 매매가격 상승폭이 1월에 비해 크게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청담·도곡지구의 가격상승률은 1월의 상승폭을 유지하고 있음

- 이는 청담 도곡지구의 2차 재건축 사업승인단지를 년내에 결정하겠다는 서울시 보도 이후
   이 지역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었기 때문이며 그 결과 청담도곡 지구의 재건축 대상아파트
   는 지난 2개월 동안 25%의 높은 가격상승률을 나타냈음.

○ 재건축 대상 이외에도 기존 아파트의 가격이 높은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는데 특히 강남구의
    준공후 10년 미만의 아파트와 송파구의 5년 미만의 일부 아파트 가격은 2개월 동안 30%정도
    의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였음.

- 이와같은 재건축 대상 이외의 아파트 가격 상승은 교통여건이나 생활환경이 양호한 지역의
   10년 미만의 신규 아파트에 실수요자들의 수요가 몰리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됨.

- 또한 강남지역의 재건축 대상 아파트의 세무조사 영향으로 강남지역에 대한 투자수요가 재건
   축 아파트에서 기존주택으로 옮겨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형 아파트의 경우 강남지역이 2개월 동안 13.4%의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였는데 이는 재건
    축 대상 아파트를 제외한 일반 아파트의 상승률이어서 소형아파트

■ 가격의 강세가 계속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줌.

○ 전세가격은 계절적인 영향에 의한 상승세가 본격화 되면서 월 평균 2-3%정도의 상승세를 나
    타내고 있으며 2월말 현재 전년말 대비 4.9% 상승하였음.

- 지역별로는 강남지역(6.2%)과 신도시 지역(5.5%)에서의 전세가격 상승률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2001년과 비교하여 2배 이상의 높은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음.

- 그 동안 30평형대 미만에서 높은 상승세를 나타내던 전세가격은 올해 들어 30평형대 이상으
   로 확산되고 있으며 강북 및 경기도 지역을 제외한 서울강남, 신도시 지역에서는 41평 이상
   의 전세가격이 2월말 현재 전년말 대비 5%이상 의 높은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음.

■  2002년 수급불균형에 의한 가격상승요인이 지속: 서울지역은 아파트 입주물량이 98년
     이후 최저치

○ 물량부족에 따른 영향은 올해에도 지속 될 예정이며 특히 소형아파트의 부족은 더욱 심화될
    전망이나 올 연말부터 입주물량이 증가함에 따라 2003년 이후에는 주택공급 부족문제가 크
    게 완화될 전망

- 입주가능한 아파트 물량 추계에 따르면 2003년 서울의 공급물량은 올해보다 28.7% 늘어난 6
   만 302호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