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동향브리핑 614호
출판일 2017-06-19
연구원 CERIK
건설사업의 대형화・복잡화와 숙련공 부족에 의하여 사업의 장기화와 비용 초과 등의 실패사례들이 증가함에 따라 로봇 도입을 통한 수행체계의 변혁을 도모하는 노력이 있음.
- 최근 건설산업은 숙련공의 확보가 용이하지 않아 품질 확보에 어려움이 많으나, 로봇을 도입함으로써 기능공의 숙련도에 따라서 달라지던 건설 품질의 균질성을 확보함.
- 건설사업의 특성상 예측하기 어려운 여건 변화에 따라서 계획된 일정대로 사업이 수행되지 못함으로써 공기지연과 사업비 증가가 발생하기도 하지만, 로봇 도입을 통해 공장 생산을 체계화함으로써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사업수행의 안정성을 도모함.
- 건설현장의 환경적 특성상 사고발생 가능성도 높아 2015년 12월 기준 건설업 사망자 수는 493명으로 전체 산업에서 가장 많이 발생 최석인(2016). 「건설 안전사고 저감 대책의 문제점과 안전관리 체계의 개선방향」. 한국건설산업연구원.
하였으나, 로봇 도입을 통한 위험 작업 등의 대체를 통해서 안전사고를 대폭 감소할 수 있음.
다양한 분야 간 융합을 통해 구현 가능한 건설 로봇공학
- 건설산업에 로봇을 적용하는 것은 단순한 로봇의 도입만으로 가능하지 않으며, 최적화되고 체계화된 건설 환경을 바탕으로 건설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로봇 개발과 생산 공정 최적화를 통하여 가능함.
- RCR(Robotic Construction Revolution) 혁신을 위한 전개 전략을 바탕으로 건축・토목공학, 기계공학, 전자공학, 정보공학, 경영학, 의학기술 등의 융합을 통한 로봇 도입 체계 구축이 필요함.
- 최근 건설산업은 숙련공의 확보가 용이하지 않아 품질 확보에 어려움이 많으나, 로봇을 도입함으로써 기능공의 숙련도에 따라서 달라지던 건설 품질의 균질성을 확보함.
- 건설사업의 특성상 예측하기 어려운 여건 변화에 따라서 계획된 일정대로 사업이 수행되지 못함으로써 공기지연과 사업비 증가가 발생하기도 하지만, 로봇 도입을 통해 공장 생산을 체계화함으로써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사업수행의 안정성을 도모함.
- 건설현장의 환경적 특성상 사고발생 가능성도 높아 2015년 12월 기준 건설업 사망자 수는 493명으로 전체 산업에서 가장 많이 발생 최석인(2016). 「건설 안전사고 저감 대책의 문제점과 안전관리 체계의 개선방향」. 한국건설산업연구원.
하였으나, 로봇 도입을 통한 위험 작업 등의 대체를 통해서 안전사고를 대폭 감소할 수 있음.
다양한 분야 간 융합을 통해 구현 가능한 건설 로봇공학
- 건설산업에 로봇을 적용하는 것은 단순한 로봇의 도입만으로 가능하지 않으며, 최적화되고 체계화된 건설 환경을 바탕으로 건설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로봇 개발과 생산 공정 최적화를 통하여 가능함.
- RCR(Robotic Construction Revolution) 혁신을 위한 전개 전략을 바탕으로 건축・토목공학, 기계공학, 전자공학, 정보공학, 경영학, 의학기술 등의 융합을 통한 로봇 도입 체계 구축이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