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동향브리핑

건설동향브리핑 623호

출판일 2017-08-21

연구원 CERIK

우리나라 평균 통근 시간은 OECD 국가 중에서 가장 높을 뿐만 아니라, 평균의 2배 수준으로 2위인 일본과 터키(각각 40분)보다 크게 높은 수준임.
통계청이 발표한 2015년 기준 인구주택 총조사 인구 이동 분석 결과(2017. 4. 20)에 따르면 통근 시간은 더욱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우리나라 전국 평균 통근 시간은 2010년 58.4분에서 2015년 61.8분으로 3.4분 증가하였음.  
- 특히, 인천(77.4분)과 서울(78.6분)이 각각 6.2분, 5.6분 증가해 다른 시도보다 크게 증가했는데, 수도권에서 출퇴근 시간이 늘어나 문제가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남.
● 통근시간이 증가한 것은 도심 내 교통 혼잡도가 증가했기 때문
도심 내 교통 혼잡도 증가로 통근시간이 길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는 지방정부의 관련 예산이 지난 몇 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해온 것으로 나타남.
- 교통혼잡 비용을 살펴보면 지역 간 혼잡비용은 정체하고 있는데 비해 도심부의 혼잡비용은 계속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