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동향브리핑 628호
출판일 2017-09-25
연구원 CERIK
현재 직면한 가장 큰 문제는 수주 규모의 물리적인 감소가 아니라 국내건설기업의 수주 지속성이 훼손됐다는 점임.
- 2014년 중반부터 시작된 국제유가의 급락은 국내건설기업의 주력 시장과 상품인 중동과 산업설비에서의 경쟁력을 급격히 약화시켰음.
- 2015년 중동 지역 수주액은 2014년 대비 47%나 감소한 165억 달러를 기록한 데 이어 2016년에는 107억 달러에 그치며 연간 수주 100억 달러를 위협받는 상황임.
- 산업설비 수주액도 2015년에 2014년보다 252억 달러나 감소한 265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2016년에는 전년대비 50%가 감소한 132억 달러에 그침.
중동과 산업설비에 대한 높은 의존도 외에도 도급사업 수주와 대형 건설기업이 전체 수주에서 차지하는 높은 비중도 국내건설기업의 갖는 약점임.
- 2000~2016년 간 도급 사업의 수주 비중은 평균 90% 이상인 반면에 투자개별형은 3% 수준에 머물고 있음. 또한 동일 기간 동안 수주 실적 상위 10개 건설기업의 차지하는 비중은 83.1%인 반면에 중소 및 중견 기업의 진출은 하락 추세에 있음.
- 2014년 중반부터 시작된 국제유가의 급락은 국내건설기업의 주력 시장과 상품인 중동과 산업설비에서의 경쟁력을 급격히 약화시켰음.
- 2015년 중동 지역 수주액은 2014년 대비 47%나 감소한 165억 달러를 기록한 데 이어 2016년에는 107억 달러에 그치며 연간 수주 100억 달러를 위협받는 상황임.
- 산업설비 수주액도 2015년에 2014년보다 252억 달러나 감소한 265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2016년에는 전년대비 50%가 감소한 132억 달러에 그침.
중동과 산업설비에 대한 높은 의존도 외에도 도급사업 수주와 대형 건설기업이 전체 수주에서 차지하는 높은 비중도 국내건설기업의 갖는 약점임.
- 2000~2016년 간 도급 사업의 수주 비중은 평균 90% 이상인 반면에 투자개별형은 3% 수준에 머물고 있음. 또한 동일 기간 동안 수주 실적 상위 10개 건설기업의 차지하는 비중은 83.1%인 반면에 중소 및 중견 기업의 진출은 하락 추세에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