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동향브리핑

건설동향브리핑 691호

출판일 2019-01-07

연구원 CERIK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술 발전은 디지털(Digital) 방식에 기반한 사회 구조 변화를 유도함. 한국표준협회(2018),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를 위한 시스템 표준화 대응 방향과 추진 전략”.

- (디지털 기술) 클라우드, IoT(Internet of Things),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이하 AI), 로봇 등의 기술은 디지털 방식을 통해 초지능화(Hyper-Intelligence), 초자동화(Hyper-Automation), 초연결화(Hyper-Connection), 초융합화(Hyper-Integration)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음.
- (디지털 경제)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디지털과 네트워크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산출하고 공유함으로써 기존의 산업 구조를 지식 정보화 방향으로 유도함.
- (디지털 전환) 기업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상품과 사업에 대한 비즈니스 모델과 운영 프로세스, 고객관리 방식, 조직 및 커뮤니케이션 방식 등 기존의 경영 방식과 가치사슬을 재정립해야 함.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술 발전에 따른 기업들의 경영 전략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현재 기업들은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의 플랫폼 기술과 로봇, 3D 프린팅, IoT 등의 디지털 기술 도입 및 정착에 노력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