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동향브리핑

건설동향브리핑 722호

출판일 2019-08-26

연구원 CERIK

그간 우리 건설산업은 전·후방 연관 산업에 미치는 높은 산업 특성과 더불어 지속적인 생산 및 투자액을 바탕으로 지역 경제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옴.
- 2017년 기준 각 광역시·도별 건설업 생산액이 지역내총생산(GRDP)에 미치는 비중만을 고려하더라도 건설은 전국 평균 5.98%〔최저 : 3.10%(서울), 최고 : 11.60%(제주)〕를 차지하는 핵심 산업임.
건설산업의 기업 구성 현황을 살펴보면, 중소기업이 전체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건설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해서는 중소 건설기업의 육성 전략 마련이 필수적임.
- 전체 건설기업 중 중소 건설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업체 수 기준으로 99.7%, 매출액 기준으로 55.1%, 종사자 기준으로 83.3%임(2015년 기준). 나경연·최은정(2017), “중소 건설업 시장 구조 분석”,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따라서, 건설산업이 지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전체 건설기업 중 중소기업이 차지하는 비중, 그리고 국내 중소 건설업체의 경영 여건이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할 때, 중소 건설기업 육성은 지속가능한 건설산업의 발전을 위해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함.
● 강소기업 육성 정책 마련의 필요성
중소 건설기업의 육성을 위해서는 전체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이끌어 나갈 수 있는 강소기업 육성을 우선 고려해야 함. 이는 강소기업이 다음과 같은 긍정적 영향을 갖고 있기 때문임.
- 일반적으로 규모는 작지만 시장과 산업 내에서 강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중소기업을 의미하는 강소기업(small giants)은 기술혁신으로 변화하는 산업 환경에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하며, 한편으로 산업을 리드하는 역할을 담당해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선도함.
- 또한 강소기업은 산업 내에 견실한 기업 생태계를 구축하는 원동력으로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바람직한 기업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함. 끊임없이 혁신을 도모하는 기업들이라는 점에서 그 산업의 발전모델 즉, Best Practices로서 산업의 혁신에 기여함.
-결국 건설산업이 지속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중소 건설업체 특히, 경쟁력 있는 강소기업이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야 하며, 이를 위한 육성 정책 마련이 필수적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