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동향브리핑 747호
출판일 2020-03-02
연구원 CERIK
영국은 국가 차원에서 자국의 경제 성장 및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해 생산성 향상과 이를 위한 인프라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인프라 투자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음.
- 영국 인프라 정책의 가장 큰 특징은 인프라 투자 효율성과 성능 향상을 위해 건설 생산성 향상 정책을 연계하여 제시하고 있다는 점임.
- 발주방식과 조달체계 개선을 포함하여 인프라 성능 개선을 위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투자 비용과 효용 예측의 정확도를 높여 투자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이해관계자 간 협력을 통해 인프라 투자 목표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종합적 이익을 높이고자 함. 또한, 신기술 도입과 혁신을 통해 비용 감소와 성능 제고를 동시에 이루고자 함.
싱가포르는 전체적인 국가 발전 계획에 인프라 정책을 포함하여 종합적이고 유기적인 관점에서 인프라 투자를 늘리고 있음.
- 싱가포르는 도시국가로서 도시개발과 인프라 정책을 종합하여 추진함. 인프라 경쟁력 세계 1위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투자 확대를 계획함.
- 싱가포르도 영국과 마찬가지로 건설 생산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주로 건설산업 혁신을 위한 신기술 활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특히 사전 제작 및 조립(Design for Manufacturing & Assembly, DfMA), 그린 빌딩(Green Building), 통합 디지털 기술 활용 체계(Integrated Digital Delivery, IDD)와 관련된 기술의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음.
두 국가의 정책을 비교하면 여러 부분에서 공통점이 있는데, 중장기적 비전 및 전략 제시, 범정부적 차원의 통합적·유기적 정책 마련, 인프라 투자 효율성 제고를 위한 건설 생산성 향상 노력, 새로운 수요에 대한 대응, 인프라 투자의 확대로 정리할 수 있음
- 영국 인프라 정책의 가장 큰 특징은 인프라 투자 효율성과 성능 향상을 위해 건설 생산성 향상 정책을 연계하여 제시하고 있다는 점임.
- 발주방식과 조달체계 개선을 포함하여 인프라 성능 개선을 위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투자 비용과 효용 예측의 정확도를 높여 투자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이해관계자 간 협력을 통해 인프라 투자 목표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종합적 이익을 높이고자 함. 또한, 신기술 도입과 혁신을 통해 비용 감소와 성능 제고를 동시에 이루고자 함.
싱가포르는 전체적인 국가 발전 계획에 인프라 정책을 포함하여 종합적이고 유기적인 관점에서 인프라 투자를 늘리고 있음.
- 싱가포르는 도시국가로서 도시개발과 인프라 정책을 종합하여 추진함. 인프라 경쟁력 세계 1위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투자 확대를 계획함.
- 싱가포르도 영국과 마찬가지로 건설 생산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주로 건설산업 혁신을 위한 신기술 활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특히 사전 제작 및 조립(Design for Manufacturing & Assembly, DfMA), 그린 빌딩(Green Building), 통합 디지털 기술 활용 체계(Integrated Digital Delivery, IDD)와 관련된 기술의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음.
두 국가의 정책을 비교하면 여러 부분에서 공통점이 있는데, 중장기적 비전 및 전략 제시, 범정부적 차원의 통합적·유기적 정책 마련, 인프라 투자 효율성 제고를 위한 건설 생산성 향상 노력, 새로운 수요에 대한 대응, 인프라 투자의 확대로 정리할 수 있음